[충청일보 배명식기자] 여성 농업인들의 농업생산 참여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 효과는 부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여성 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농업 취업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농업인이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2008년 43.6%에서 2013년 66.2%로 22.6%p나 상승하는 등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꾸준히 증가세다.

2008년 조사에서는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50% 이상이라고 응답한 품목은 화훼 및 일반밭작물이었으나 2013년에는 축산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결과 46~65세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율이 타 세대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세대별로 구분된 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로 다른 농사일 비중에 따라 여성 농업인의 정책 요구 또한 차이를 보였다.

26~45세 그룹의 여성 농업인은 소득의 불안정성 완화, 자녀 교육의 질적 측면을 고려한 정책, 자격증 취득, 컴퓨터 교육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46~65세의 여성 농업인은 노동투입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가사와 농사일의 병행에 따른 부담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특히 농번기에 가사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6~85세까지는 대부분 특정한 교육보다는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건강 관련 수업이나, 취미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더 높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