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고 설립과 관련, 이시종 충북지사와 충북도가 궁지로 몰리는 분위기다.
도는 그동안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전국단위 모집 가능한 자율학교 지정 등 3개안을 주장했다. 반면 김병우 도 교육감은 한국교원대부설고를 오송으로 이전하고 캠퍼스형 학교로 설립하는 등의 미래·인재학교 모델을 방안으로 내놨다. 

이처럼 두 기관이 명문고 육성방안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자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중재에 나서 지난달 28일 교육부를 방문한 결과, 김 교육감의 제안만이 실현 가능한 것으로 확인했다.

도의회 교육위 이숙애 위원장과 서동학·김영주·박성원 위원은 이날 교육부를 방문해 박백범 교육부 차관, 김성근 교육정책실장과 면담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예정했던 유은혜 교육부 장관 면담이 장관의 일정으로 돌연 취소된 후 장관을 제외한 교육부 최고위직과의 만남이었다.

충북도의원들은 교육부 방문에 앞서 명문고 설립과 관련, 이 지사를 비롯한 충북도의 의견과 김 교육감이 언급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날 △충북에 전국단위 모집 가능한 자율학교 지정 △기업체·공공기관, 연구기관 등 이전기관 근무자의 자녀에 대해 해당 광역자치단체 고교 입학 허용 △국립교원대부고의 학급증설 및 오송 이전 등 3개안을 건의했다.

이 지사가 가장 강조했던 자사고는 아예 제외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 A도의원은 "명문고, 명문대학 육성차원이 아니라 양 기관이 고민하고 있는 궁극적인 지점은 같다고 생각한다"며 "건의안은 혁신·기업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및 확보 차원에서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도의원들도 자사고 설립은 여러 측면에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뺀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자율학교 지정마저도 "교육부의 정책에 반하는 내용"이라며 단호하게 불가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전기관 근무자 자녀의 광역지자체 고교 입학 허용 문제는 법을 개정해야 할 사안으로 다른 부처와 협의해야 한다는 게 교육부의 입장이다. 

다만 이날 교육부 측은 "지역의 애로사항에 공감하고 앞으로 고민해야 할 사안"이라며 "타 부처와 심도 있는 고민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절차상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반면 김 교육감이 밝혔던 교원대부고의 오송 이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처럼 도 교육위는 자체 판단해 이 지사가 명문고 설립의 첫 번째 안으로 제시한 자사고 설립을 교육부 건의안에서 제외시켰고, 특히 교육부는 김 교육감의 의견에 손을 들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그렇다고 해서 도 교육청이 이번 논란에서 올바른 판단을 해왔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교육정책의 최대 수요층인 학생과 학부모의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김 교육감이 도입한 충북형 혁신학교인 행복씨앗학교도 중요하고 "창의융합형 미래인재를 키우는 학교가 명문고"라는 교육청 관계자의 말도 일리가 있지만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진학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여러 교육정책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대학에 갈수 있도록 뒷받침해줘야 한다. 그래야 특정 명문고 설립 논란도 없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