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버스 운전 기사들의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가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

전국 버스운전 기사들은 지난 달 29일 동시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노사간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오는 15일 버스 운행이 중단된다.

쟁의 조정 신청에는 전국 특·광역시와 경기도, 전라도, 경남 창원시가 참여했다. 충청권에서는 충남도, 충북 청주시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국 버스 사업장 479개 가운데 234개 노동조합, 버스 2만대, 노조원 4만1000명이 참여했다.

이들이 파업을 예고한 이유는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근무 일수 규제로 신규 추가인력이 1만5000여명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신규 채용이 1250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버스도 4만5958대에서 4만5701대로 감소했다는 것이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의 주장이다.

노조는 버스회사들이 신규 인력을 충원하지 않고 운행 차량이나 노선을 줄이는 방식으로 노동시간 단축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노선 폐지나 운행 축소를 하지 못하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적자가 규모가 늘어나면서 운행 축소가 반복되고 있다.

노동시간이 단축되면서 임금이 삭감된 점도 노조는 따지고 있다.

특례업종에서 제외된 노선버스는 현재 최대 68시간 근무가 가능하다. 부족한 운전기사를 대신해 2~3일 추가 근무를 하고 있지만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 이것이 불가능해진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유지해도 한 달에 3~4일정도 근무가 줄어들게 된다. 그로인해 임금도 감소한다.

노조는 버스 교통 정상화를 위해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운송사업 재정 지원을 금지하고 있는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을 원하고 있다.

노선버스는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7월 1일부터 단계적으로 주 52시간제를 시행하게 된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운전기사 부족으로 앞으로 버스운행 파행은 불가피하다고 말하고 있다.

버스 운행 축소는 결국 이용 시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자가용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크게 상관이 없겠지만, 대부분 서민들과 학생들은 버스를 이용해 출퇴근·통학을 한다.

지하철이 없는 도시는 상황이 더 심각해진다. 그렇다고 모두 택시를 이용하게 되면 수요가 많아져 택시를 잡기도 어렵겠지만,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여간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현 시점에서는 정부와 지자체, 버스회사가 머리를 맞대고 직면한 문제에 대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임금 축소가 비단 버스회사에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아니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소위 '투잡', '쓰리잡'을 찾아 나서고 있다. 기존 가계 지출 규모를 갑자기 줄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어찌됐든 버스는 '서민의 발'이라는 특수한 면에서 정부가 나서 해결책을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해결책 마련을 위해 버스 노조는 이미 세워진 정책을 되돌릴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하며 양보할 점은 양보하길 바란다.

정부나 지자체도 노조가 요구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다른 대안도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