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혁 전 청주시농기센터소장·ABC농업비즈니스컨설팅 대표

[충청칼럼] 윤명혁 전 청주시농기센터소장·ABC농업비즈니스컨설팅 대표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집 근처에 텃밭을 가꾸고 그곳에서 재배한 상추며, 쑥갓, 오이, 배추, 무 등의 신선한 채소를 자급자족하면서 사는 풍습이 있었다. 이렇게 재배된 채소들은 시장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고 많이 생산되면 이웃과 나누어 먹으면서 이웃4촌이라는 정을 나누며 살아 온 것이다. 즉, 농심을 바탕으로 맺어진 끈끈한 정은 이웃4촌이 친 4촌보다 낫다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는 도시라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산업현장으로 내몰린 사람들은 혼자 빨리만 가면 된다는 자세를 삶을 살아가다 보니 산업화로 오염된 환경 속에 치열한 경쟁과 생존경쟁으로 내몰리면서 인간성은 파괴되고 결국 도시사회의 디스토피아 현상이 심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환경오염과 인간성의 파괴는 사회전체를 위기감으로 몰고 가면서 사회내부에서 자연스럽게 힐링문화가 창조되었다.

이와 때를 맞추어 정부에서는 도시민에게 농업을 통한 치유와 힐링, 도시의 정화 등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2011년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 하고 도시민들을 위한 도시농업을 장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동법 제3조 제 1항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도시농업을 위한 토지ㆍ공간의 확보와 기반 조성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고, 도시농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한다.” 라고 규정되어 있다.

이처럼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의해 시작된 도시농업은 여러 해를 지나면서 확산되고 발전되어 왔다.이렇게 시작된 도시농업은 지역별로 편차는 있지만 도시의 모든 계층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지 않고 양적으로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텃밭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도시농부 교육 등의 프로그램에 의존하여 왔던 것이다. 이는 도시농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 도시농업은 풀뿌리 시민단체로부터 출발했는데 이때의 도시농업 프로그램이 농부학교, 텃밭 교육 등을 주로 담당하여왔고 이것이 법제화 되면서 관주도의 시행으로 양적 성장은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뿌리가 내리고 기반이 조성된 만큼 이제부터는 도시민들의 삶과 행복, 그리고 마음의 치유는 물론 도시농업을 통한 지역 통합과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도시 주부위주의 참여 프로그램을 남녀노소의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취약계층의 참여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학습시간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로 하여금 도시농업 지도자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도 정부적인 차원에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광의적인 도시농업은 도시민이나 학생들의 농촌체험이나 학습도 포함할 수 있기에 도시민과 학생들의 농심함양과 우리 농산물 애용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면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최고의 프로그램으로 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가까이 있는 일본의 경우 국회가 나서서 지난해부터 일본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농촌체험을 의무적으로 시킬 수 있는 법을 제정하고 시행하면서 좋은 성과를 보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정부는 농촌에서 숙박하는 청소년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농촌 민박 품질인증제’를 도입하여 금년도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치밀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일본의 시즈오카 현에서는 채소버스를 운영하여 도시민이 현지에서 쉽게 신선한 채소를 구입할 수 있도록 셔틀버스처럼 운영하는데 소농가가 재배한 채소를 출하하는 일까지 도와주면서 아주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도시민의 농촌활동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미세먼지, 폐비닐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도시문제 해결에도 도시농업이 할 몫이 반드시 있다는 점이다. 벽면을 녹화하고 도시 숲을 조성하며 지금 추진하고 있는 텃밭 사업을 공한지나 농지를 이용하면서 텃밭을 분양받아 운영하면서 도시민만이 참여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벗어나 공원형태로 조성하는 방안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정책적으로 추진한다면 더 큰 성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도시농업은 지금처럼 양적인 성장에 치중하다보면 도시농업의 혜택을 받는 사람들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제 텃밭과 교육 정도를 벗어나 공공성을 확대하여 도시를 살리고 도시민을 치유하며 농촌, 농업인과 공감하면서 농업의 공익적 가치가 모든 사람에게 실현될 수 있도록 질적인 성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