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 사건의 과거·현재·미래] 3.중장기 발전 방향은

▲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평화공원을 찾은 외국인들이 위령탑 앞에서 희생자의 넋을 기리며 분향하고 있다.

진실 규명 공감대 형성 절실
해외민간인 살상사건 연대도
인권·평화가치 계승·발전해야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 필요

[영동=이능희 기자] 내년 70주년을 앞둔 노근리 사건의 전국화와 세계화가 갈 길이 멀다.
 

노근리 사건 해결 방향의 기초는 용서와 화해에 기초한 상생·평화의 모델 구축에 있다.

 
노근리 사건을 과거의 사건으로 인식해 추모와 위로에 집중하는 것 뿐 아니라 미래의 가치를 추구하고, 사건의 진실 규명과 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와 공감대 형성을 진행해야 한다.

 
인권·평화·화해를 기본 가치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노근리 사건을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도 필요하다.

 
해외 여러 민간인 살상사건 피해자 유가족과의 연대를 추구해 노근리 사건의 인권·평화적 가치를 다음 세대로 계승·발전해야 한다.

 
노근리 사건은 근현대사에 있어 주요 인권유린 사건들 중에서도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다.

 
제주 4·3평화재단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를 보더라도 노근리 사건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인지도 99.0%)에 이어 두 번째의 순위(인지도 75.7%)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정부를 비롯한 사회의 관심과 지원은 아주 제한적이다.

 
아직까지 노근리 사건의 담론이 노근리 지역과 사람들을 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근리 지역에서 노근리 사람들에게 일어난 일이라는 인식이다.

 
미국 관련 이슈의 경우 사회문제화 함을 꺼리는 사회적 분위기도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인식과 현실은 노근리 사건의 의미를 제한함은 물론 해결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근리 사건의 지방화를 위해선 사건 발생 지역인 영동군과 충북도가 노근리 담론 형성과 추모·공감에 대한 연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노근리 사건이 단지 유족과 피해자의 사건·기억이 아니라 피해자를 위로·추모하고 기억을 계승해야 하는 사건임을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유족 중심의 추모·위령 행사를 지양하고 영동 뿐 아니라 충북 시민단체와의 연대를 통해 지방화를 모색해야 한다.

 
노근리 사건에 대한 지방 수준의 담론과 연대를 형성한 후 이 사건이 지역의 한 사건을 넘어 전 국민이 공감하고 인식하며 기억을 계승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노근리 사건에 대한 전국적인 추모와 위로를 이끌어내고 사건에 대한 공감대를 국가적인 수준으로 확장해 진상 규명과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환기해야 한다.

 
관광사업이나 홍보를 통해 노근리 평화공원을 알리는 방법이 아니라 사건 인식과 위로의 마음을 공유하는 방법으로 전국화를 추진해야 한다.

 
국가폭력의 방지와 민간인의 인권 보호는 인류 보편의 문제인데, 노근리 사건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있어 국제적 문제라는 측면과 동시에 인간의 근원적 규범에 대한 침해 사건이라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국가적 사건에서 인간의 보편 가치에 대한 침해 사건으로 의미를 확장해야 한다.

 
인권 침해 사건 피해자들과 연대의 범위를 국내는 물론 국제적 수준으로 추진해 미래 유사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공원 주변 숲을 활용한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도 검토해야 한다.

 
대중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웹툰, 영화와 같은 콘텐츠 활용도 절실하다. <끝>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