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충청권 지자체장들은 지난 해 7월 1일 취임해 민선 7기 임기 4년 중 첫 1년을 보냈다.

이들은 27일 기자회견이나 브리핑을 통해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발표했다.

일부 아쉬운 점도 피력했지만 대부분 자신의 치적을 알리는데 주력했다.

지자체장들은 앞으로 미완의 과제를 완수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충북에서는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의 오송연결선 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도교육청과 이견을 계속 드러내는 인재육성 방안과 중부고속도로 전 구간(호법~남이) 확장 사업도 해결해야 한다.

충남에서는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해결과 관련, 갈 길이 멀다.

충남에는 전국 화력발전소 60기 중 절반인 30기가 몰려있는 데다 사용 연한(30년)이 지난 노후 화력발전소도 2기에 달한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초 당진화력 1∼4호기 등 가동 20년이 지난 충남지역 석탄화력발전소 10기 전체가 일제히 수명연장을 추진해 논란이다.

도는 정부에 석탄화력발전소 수명연장을 위한 성능개선 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건의했지만, 명확한 답변을 얻어내지 못했다.

지난 4월에는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미세먼지 유발 물질 저감장치가 고장 나 5년째 대기오염물질을 초과 배출해왔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도민들의 공분을 샀다.

도는 실질적인 관리·감독 권한이 정부에 있다는 이유로 처벌을 미뤄오다 뒤늦게 조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어진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사고 때는 주민들에 대한 적절한 상황 전파가 이뤄지지 않는 등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대한 도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양승조 지사도 이날 언급했듯이 혁신도시 추가 지정도 풀어야 할 숙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갈등관리 부족'이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베이스볼드림파크 위치 선정 과정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결국은 공약대로 중구 한밭종합운동장으로 입지가 최종 결정됐지만 중간 과정에서 행정력이 낭비되고 자치구 간 과열 경쟁을 유발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월평공원 갈마지구 민간특례사업은 공론화 과정을 거쳤음에도 찬반 대립이 끊이지 않았다.

공론화위원회가 사업 '반대'로 의견을 피력하면서 사업 추진을 주장하는 토지주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월평공원의 다른 쪽 정림지구에 1488가구 규모 아파트를 짓는 사업을 승인하자 이번에는 환경단체가 "공론화위원회 결과를 무시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갈등 봉합을 위해 도입한 공론화는 양측의 반발 수위만 더 높인 결과를 초래한 셈이다.

공론화를 중시하던 민선 7기는 평촌산단 LNG 발전소 건립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태도를 보였다.

주민들을 상대로 충분한 의견 수렴 절차 없이 한국서부발전과 업무협약을 하고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미세먼지 발생 등을 우려한 환경단체와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뒤늦게 건립을 백지화했다.

세종시의 경우 '세종시 행정수도'가 명문화된 개헌이 무산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문화시설과 도시 인프라 등도 아직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신도심에 너무 많은 상가가 들어서면서 매매·임대에 실패한 상가의 공실 문제도 심각하다.

세종보 처리 방안을 놓고는 해체를 제시한 정부 측과 이견을 보이며 엇박자를 냈다.

지자체장들은 지역 주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남은 임기 3년동안 성실히 일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