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법혜 스님· 민족통일불교중앙협의회 의장

 

[충청산책] 김법혜 스님· 민족통일불교중앙협의회 의장

명절 때만 되면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가족 호칭 이야기가 명절 증후군으로 등장된지 오래다. 남편 쪽은 시댁, 도련님 등으로 높여 부르고 아내 쪽은 처가, 처남 등으로 부르는 차별적 호칭을 바꾸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성가족부도 올 추석 연휴 기간에는 평등한 명절 문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여기엔 남녀 차별적인 호칭 문화의 개선도 포함되어있다. 기존 가족 호칭이 너무나 심각하게 불편감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제부터라도 가족 호칭 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시댁, 처가, 시아버지, 장인 ,시어머니, 장모, 도련님, 처남, 아가씨, 처제 등의 호칭은 부부가 서로의 집과 가족을 부르는 말인데 이상하게 남편 쪽만 높여 부르고 있어 성차별적 비대칭 가족 호칭이 적지 않은 스트레스로 나타나고 있다.

일단 여성이 남성의 집을 일컬을 땐 ‘시댁’이라고 높여 부르는 단어를 쓰는데, 남성이 여성의 집을 일컬을 땐 ‘처가’라고 하는 것부터가 차별적이다. ‘처댁’이라는 단어는 아예 없다.   여성이 남성의 남동생을 부를 땐 ‘도련님’ 또는 ‘서방님’이라고 한다. 도련님은 과거 종이 상전을 높여 부르던 단어, 혹은 총각을 대접하여 이르는 도령이라는 말의 높임말이다. 도령은 이미 대접하는 의미가 있는데 거기에서 한 계단 더 높여 부르는 것이다.

반면에 남성이 여성의 남동생을 부를 땐 ‘처남’이라고 한다. 여기엔 대접하거나 높여 부르는 의미가 전혀 없다. 여성이 남성의 여동생을 부를 땐 ‘아가씨’라고 한다. 아가씨 역시 종이 상전을 부르는 호칭 중의 하나였다.

원래는 ‘아기씨’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의 딸을 일컫는 존칭이기도 하다. 반면에 남성이 여성의 여동생을 부를 땐 그냥 ‘처제’라고 한다. 여성이 남성의 누나를 부를 땐 ‘형님’이라고 한다.

반면에 남성이 여성의 언니를 부를 땐 ‘처형’이라고 한다. 여성이 남성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땐 ‘서방님’이라고 하지만, 남성이 여성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땐 그냥 ‘0서방’이라고 한다.

‘님’자가 빠지는 것이다. 존댓말 차이도 있다. 여성은 아가씨와 도련님과 서방님에게 존댓말을 하지만, 남성은 처제와 처남과 0서방에게 편하게 말한다. 평소 대화에서도 자주 불편함을 느끼는데, 온 가족이 모인 명절엔 얼마나 당혹스러울지 공감하게 된다.

오랜 관행으로 여겨져 온 호칭이지만 시대와는 맞지 않는다. 이러한 성 차별적 비대칭 호칭은 대가족 남성중심사회에서 유래된 언어 습관 가운데 하나이다. 도련님은 도령이라는 총각을 대접하는 말에 '님'까지 붙여 높여 부른 말이고, 아가씨도 지체 높은 집안의 딸을 지칭하는 '아씨'에서 유래 됐다고 한다.

남녀 성차별적 법률과 제도는 해마다 크게 바뀌고 있다. 이미 개인을 중심으로 한 핵가족이 우리 가정의 주류 형태가 됐다. 평등하고 민주적인 남녀 역할론이 가정 내 중심 가치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가족 호칭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여성가족부가 최근 설문 조사로 처가 대신 처댁, 장인어른 대신 아버님, 장모 대신 어머님, 동생의 호칭은 아예 누구누구 씨로 통일하자 등 다양한 의견도 나왔다.

하지만 가족 호칭을 강제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족 호칭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지 않으면 현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가족 호칭보다 먼저 부부가 서로의 가족을 동등하게 존중해야 한다는 인식이 바탕이 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다.

더욱이 명절이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며 즐겁고 행복한 시간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세대간, 집안간 불편과 갈등만 키운다면 그런 명절은 없느니만 못하다. 부부사이를 비롯해 사돈 간에도 서로 존중하고 평등한 관계를 지켜줄 언어 예법을 만드는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제 사회적 논의 과정이 시작된 만큼 변화된 시대에 걸 맞는 가족 호칭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