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전국의 열차 운행·안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철도교통 관제센터'가 청주 오송에 들어서게 돼 오송역의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

 이 센터는 고도화된 관제망을 통해 철도 전 노선을 한 곳에서 실시간 통제·제어하는 첨단시설로 오송이 국가철도 인프라 구축의 최적지임을 정부가 공식 인정한 셈이다.

 국토교통부는 입지선정위원회를 거쳐 이 센터 입지로 오송을 확정했으며, 센터는 3만2000㎡ 부지에 연면적 2만㎡ 규모로 조성된다.

 조성 기간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등을 포함, 2025년까지로, 사업비는 국비 3000억원이다.

 건물과 시스템은 2023년 구축되지만 2년여의 시운전을 거쳐 2026년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이 센터에는 500명 이상의 관제사가 근무하게 되며, 관련 유지·보수 업체의 오송 이전도 예상된다.

 현재 서울 구로관제센터가 있지만 설비가 낡았고 KTX, SRT, GTX 등 고속철도 양적 확대에 따라 비상시에도 중단없는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시설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이 센터 건립이 추진됐다.

 이 센터 입주는 국내 유일의 KTX 분기역인 오송역의 위상 강화에도 힘이 될 것으로 충북도는 기대하고 있다.

 오송 시설장비사무소에는 국내 유일의 철도종합시험선로와 철도완성차 안전시험 연구시설, 무가선 트램 시험선 등의 철도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

 오송역 이용객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고, 올해에는 800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평택∼오송 2복선 개통 후에는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충북에서는 세종역 신설 반대 움직임이 거세게 일었다.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가 민주당 정권 퇴진·심판 운동을 하겠다고 목소리를 키웠고, 충북도 역시 강력 저지 입장을 표명했다.

 세종역 신설 문제는 지난 2016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역발전 공약 중 하나로 KTX 세종역 신설을 제시했고, 민주당을 탈당한 후 출마했던 이해찬 현 민주당 대표의 총선 공약이기도 했다.

 세종역 신설문제는 총선 후 잠잠해지는 듯했지만 그해 8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하면서 다시 불붙었다.

 이듬해 5월 비용편익분석(B/C)이 0.59로 극히 낮게 나오면서 논란은 점차 사그라들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해 11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세종역 신설에 부정적 입장을 밝혔고, 이낙연 국무총리도 같은 달 세종 경유 호남선 KTX 직선화 추진 의원모임에서 "세종역 신설은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그 직후 이 대표의 세종역 신설 재추진 발언이 나왔고, 논란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세종역 신설을 둘러싼 충청권 내 갈등은 내년 4월 선거를 앞두고 '총선용'으로 또 한번 쟁점화 될 가능성이 높다.

 오송의 '철도교통 관제센터' 구축과 함께 KTX 세종역 신설 문제도 매듭지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