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정숙 수필가

 

[백목련] 육정숙 수필가

문화와 풍습을 바꾸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언젠가 신정과 구정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자고 해서 정책적으로 신정으로 유도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문화의 시대적인 발전과 변화에 따라 더러는 변화가 오기도 하지만, 우리의 구정은 흔들어도 흔들림 없이 굳건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다보니 해가 바뀌면서 시작되는 새해인사는 구정이 지나야 마무리가 된다. 그 덕분에 ‘새해엔 건강하시고 하시고자 하는 일 모두 이루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는 덕담을 자주 하게 되고 듣게 된다. 하지만 명절은 바쁜 현대의 삶에 동전의 앞뒷면 같은 면이 있다. 그러다보니 예전보다는 명절을 지내는 방식이 상황에 따라 각자의 방식대로 예를 갖추어 지내기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주부로서, 명절이 다가오면 나름의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입장에서 마음의 짐이 된다. 제사 준비며 그동안 멀리 떨어져 지내느라 소원했던 일가친척들이 한데 모일 수 있는 날이기에 먹거리도 장만해야 한다. 그 뒤치다꺼리를 해야 하는 주부에겐 심적 부담은 물론, 무엇보다 육체적 피로감이 크므로 명절 증후군이라는 병 아닌 병을 얻게 된다.

무슨 일이든 준비하는 과정이 기분을 들뜨게도 하지만 한편으론 신경을 건드리기도 한다. 그래도 대부분 명절준비가 많이 간편해지고 주부들이 얼마나 힘겨운지에 대해 서로 이해하고 격려하고 도와가며 명절을 보내려는 모습들이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설날은 ‘설다’(제대로 익지 않았다) ‘낯설다. 설어둠’(해가 진 뒤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은 어둑어둑 한 때)에서 왔다는 견해도 있고, 또는 ‘삼가다’(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는 뜻의 옛말 ‘섧다’에서 왔다는 설도 있다. 설의 의미는 새해 새날이 시작 된다는 의미를 되새기는 뜻이 있으며, 몸가짐에 그릇됨이 없이 조심하라는 날의 뜻도 있다고 한다. 새해를 시작하는 첫날인 만큼, 이날을 아무 탈 없이 지내야 일 년 열두 달이 평탄하다고 하여 ‘지극히 조심 하면서 가만히 들어앉은 날’이란 뜻에서 설날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한다.

한국의 설 명절은 민족이 대이동을 하는 날이다. 전국의 도로는 어디를 가든, 고향을 찾아 떠나는 이들의 행렬로, 평소보다 몇 배의 시간이 걸려야 고향에 도착 할 수 있다. 이날만큼은 조용했던 고향마을들이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 친지들로 하여금 떠들썩해진다.

깨끗하고 정갈한 한해를 소망하라는 의미로 흰 떡국도 끓이고, 복을 부르고 서로 잘 어울려 화합하라는 의미의 만두도 빚는다. 만두의 속처럼 각각의 맛이 조화를 이루어 맛깔스런 맛을 내듯, 흩어져 살던 가족, 친지들이 모여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되었음을 확인하며, 그동안 못다 한 정도 나누고 안부도 묻고, 서로에게 소원했던 시간들의 사이를 좁혀간다.

전 세계를 통틀어 이렇게 정을 나누고 대화합을 이뤄내는 민족이 또 있을까! 우리의 삶에 있어, 어떤 일이든 그 시작은, 크든 작든 하나에서부터 시작이 된다. 새해 새날들은 서로를 배려하며 존중과 사랑으로 사이의 간격을 좁혀 간다면, 오늘보다 나은 새로운 내일을 기대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소원해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