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의 개학 시기를 놓고 사회적인 관심이 무척 뜨겁다.

정부는 이르면 30일이나 오는 31일 유치원과 초·중·고의 다음 달 6일 개학 여부를 발표하기로 한 상황이다.

개학은 코로나19 사태로 세 차례나 연기됐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피해가 누적되며 학사 일정에도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교육 당국이 추가 연기를 부담스러워 할 수 있는 이유다.

개학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자녀 돌봄 부담을 떠안은 학부모의 피로감도 가중되고 있다.

더이상 휴가 등을 쓰지 못 하는 학부모들은 아이 돌보기가 여간 버겁지 않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실하게 잡혔다는 징조도 없고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개학했다가 자칫 학교 집단 감염이라도 발생하면 지금까지 정부와 민간의 방역 노력은 한 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다.

수십명이 밀집하는 환경 상 만에 하나 누구 하나에게서라도 감염이 확인되면 조심스럽게 점쳐지던 사태 종식은 말짱 도루묵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28일 전국 시·도 교육감들과의 간담회에서 개학의 전제 조건으로 △통제 가능한 수준의 감염 위험 △학부모·지역사회·교육계의 공감대 △학교의 방역 체계 등 3가지가 충족돼야 한다고 했다.

앞서 언급한 이유 때문이다.

현재 전반적인 학교 안팎의 사정을 보면 정 총리가 제시한 전제 조건 중 제대로 갖춰진 건 없어 보인다.

신규 확진이 감소 추세이고, 완치율이 50%를 돌파하는 등 방역 노력이 결실을 보고 있으나 지난 28~29일 신규 확진자가 100명을 넘으며 새로운 감염 확산세이냐 통제 가능하냐의 갈림길에 서있다.

달성의 제2미주병원이나 구로 만민중앙교회 집단 감염에서 보듯 지역 사회의 감염 확산 우려는 여전하다.

해외발 입국자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 바이러스 전파도 우려된다.

게다가 교실은 도시 지역의 경우 학생들이 2m 이상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업할 수 없으며 급식 환경도 방역 친화적이 아니다.

이 때문에 정 총리와의 간담회에서 대다수 시·도 교육감은 다음 달 6일 개학에 반대했다.

학사 일정 때문에 고민이 많은 교사와 아이 돌보기에 힘겨워하는 학부모들 역시 같은 의견이 많고, 의사협회도 개학 연기를 권고하는 실정이다.

결국 개학을 무리하게 강행할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온라인 원격 수업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개학 연기에 대비, 일부 학교에서 원격 수업을 시범 운영 하기로 했는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해 조기 정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학교·지역별 디지털 격차를 먼저 해소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 학년 별 차등 개학도 하나의 방법이다.

고 3의 경우 수능 일정, 재수생과의 형평 문제 등으로 개학을 계속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개학 일정 판단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점은 두 말할 필요도 없이 학생 안전이지만 이는 방역의 성공이 전제돼야 한다.

불편하겠지만 당분간 모두가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 동참하면 개학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