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21대 국회는 20대 국회가 국민들에게 안겨줬던 실망감을 반복하지 않길 바란다.

숨 가쁘게 달려온 선거운동 기간이 끝나고 마침내 선거가 치러졌다.

전국 253개 선거구에서 국민들은 자신의 지역 일꾼을 선택했고, 47명의 비례대표까지 21대 국회는 새로운 300명의 신·구 정치인이 배지를 달고 일하게 된다.

21대 국회의원들에게 국민들이 거는 기대는 자못 크다. 그 이유는 20대 국회가 국민의 뜻을 받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법안을 만들고 다듬는데 소홀했기 때문일 것이다.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진 상황 속에서도 선거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은 것도 아마 그 같은 영향이 있으리라 본다.

20대 국회를 돌아보면, 출범 다섯 달 만에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7번의 청문회가 열렸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돼, 탄핵 심판 절차가 개시되면서 박 전 대통령이 파면됐다.

탄핵 여파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까지 이어져 여야의 극한 대립은 멈추지 않았고,  선거법·공수처법을 둘러싼 패스트트랙 정국이 펼쳐져 정점을 찍었다.

고성과 몸싸움, 쇠 지렛대와 쇠망치, 의원 감금 사건까지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국민들에게 보여줬다. 국회 선진화법은 7년 만에 헌신짝처럼 버려졌다. 

여야는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으로 또다시 극한 대립을 하면서 국가를 두 동강으로 갈라놓았다.

충돌에 급급했던 20대 국회의 법안 처리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발의 법안 2만 1500여 건 중 처리는 6500여건, 30.2%에 그쳤다. 입법부 본연의 역할은 등한시하고 정쟁만 점철한 국회였다.

보다 못한 여아 중진들은 이번 총선을 앞두고 '일하는 국회법'을 20대 국회에서 처리하자는 제안까지 내놓았다.

다선 의원들은 신속한 원 구성을 통한 공전 없는 국회, 연중 법안 처리를 할 수 있는 일 하는 국회, 윤리 강화를 통한 신뢰 받는 국회 등을 만들기 위한 '일하는 국회법'을 제안했다.

국회의원 스스로 20대 국회가 국민들에게 보여준 모습은 '낙제점'이라고 인정했다고 볼 수 있다.

국민들도 각계각층에서 연령대 별로 21대 국회만은 본연의 일을 하고 민생을 챙기며, 국민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 줄 수 있는 국회가 되길 바라고 있다.

선거 기간 내놓은 공약이 빈 껍데기가 아닌 실제 실행이 가능하길 바라고 자신들의 말에 책임질 수 있길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 가계 재정, 소상공인, 의·약, 중소기업, 교육, 안보, 대기업, 안전, 문화예술, 인권 등 수많은 주제들이 국민 앞에 놓여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법안들이 제·개정돼야 한다.

국가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본연의 일을 충실히 할 때 가능하다. 특정한 한 분야만 잘한다고 해서 이뤄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국회는 이런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 정치는 전체적인 국가 시스템 운영을 선도하는 분야다. 그만큼 정치인들은 무거운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져야 한다.

21대 국회는 20대 국회의 전철을 밟지 않고, 국민들에게 진정한 박수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길 당부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