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충북을 비롯해 충남, 대전, 세종 등 충청권에서의 2030 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산된 데 대한 아쉬움이 크다.

충청권은 4개 시·도지사가 지난해 2월 공동유치 협약을 체결하고 대회 준비에 들어갔다.

충청권은 대회 8년 전인 2022년 개최 도시 확정에 대비해 유치 활동을 전개해왔다.

이런 가운데 지난 1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올해 11월 개최 도시를 확정하겠다며 이달 22일까지 유치의향서를 제출하라는 공문을 국가올림픽위원회(NOC)로 보내면서 문제가 생겼다.

대한체육회는 2월에서야 각 시·도 체육회로 유치신청서를 제출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충청권은 지난달 유치 신청을 했고 대한체육회는 이달 10일 충청권 4개 시·도를 후보 도시로 확정했다.

충청권은 이달 13일 문화체육관광부에 공식 유치 신청을 했다. 문체부는 서류 검토 후 16일 보완 요청을 했다.

충청권은 확정이 어려운 사항을 추후 실행계획 수립 단계에서 보완하겠다며 먼저 문체부 승인을 얻어 대한체육회에서 OCA로 유치의향서를 제출토록 건의했다. 그렇지만 문체부는 국제 경기의 경우 국무회의를 거쳐 관련 부처, 총리 사인, 문체부 심의 등의 절차를 밟아야한다는 입장이었다.  

절차 상 문제 뿐 아니라 부지 매입, 진입도로, 국제 규격에 맞는 경기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누락돼 대회 개최를 위한 제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본 것이다.

사실상 마감날인 22일까지 OCA로 유치의향서를 제출하기가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문체부는 2026년 아시안게임도 2016년에 결정된 만큼 충청권에서 사전에 OCA와 연락을 통해 준비를 했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준비 기간이 국무회의를 비롯해 승인 절차를 거치고도 문체부 심의만도 2개월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지자체에서 경기장을 비롯해 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준비에도 상당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이를 대비했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도 등 충청권 지자체에서는 지난해 문체부에서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다"며 논의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실게임'이 될 수도 있겠지만, 어찌됐든 사전에 정부와 충청권 지자체 간 교감이 부족했던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현재 정부는 지자체에서 미리 대회 준비를 철저히 하지 못했고, 승인 절차에 대한 시간을 주지 않았다고 하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는 정부가 유치에 대한 열의만 있다면 좀더 발 빠르게 움직였을 것이라며 서운함을 감추지 않고 있다.

양 측 의견이 모두 일리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아시안게임이 좌절된 데 대해서는 책임을 피하지 못할 것이다.

OCA가 2026년 대회를 OCA헌장 규정에 8년 전 결정을 뒤바꿔 10년 전에 했다는 부분도 정부나 지자체가 간과한 것으로 보여진다. 

국제대회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지자체만의 경사가 아니라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노력해야 할 사안이다. 이번 사태는 정부나 지자체 모두 반성해야 할 부분이 있다. 향후 정부나 지자체는 국제 대회 유치에 있어 상호 간 협력과 진지한 논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