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한국전쟁, 인민군과 맞서 싸우다 산화한 단양 동대재 ‘용사묘역’

▲ 단양군 영춘면 동대재에 자리한 ‘순국 경찰 13인 용사 묘역. 사진 목성균기자

[단양=충청일보 목성균기자] 충북 단양군 영춘면 상리 동대재.

맞은편 태화산을 감싸 안고 북벽의 아름다움과 단양강의 물줄기가 굽이쳐 휘돌며 그림처럼 아름다운 곳.

이 고개(동대재) 중턱, 양지바른 곳엔 ‘순국 경찰 13인 용사 묘역’이 자리 잡고 있다.

묘역에는 한국전쟁 당시 퇴각하는 인민군과 교전을 벌이다 조국을 위해 산화한 13인의 청년 경찰단원 영령이 잠들어 있다.

단양군 영춘면 의풍·동대·남천리는 충북·강원·경북이 접해 있는 3도 접경지역이다.

6·25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1950년 9월 15일)으로 세가 밀린 인민군들은 북으로 퇴각하며 단양 곳곳에 숨어 있다가 경찰부대와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국군은 퇴각하는 인민군을 막기 위해 태백 줄기 곳곳에 막아서자 태백과 소백산맥이 만나는 단양군 영춘면 의풍리와 동대리 일대에 숨어들었다.

숨어든 인민군들은 마을에 침입해 부족한 식량과 가축을 탈취하고 주민을 식량운반에 동원하는 등 많은 피해를 입혔다.

▲ 단양군 영춘면 동대재에 자리한 '순국 경찰관 13인 용사 묘역' 전경. 사진 목성균기자

하지만 국군의 주력부대는 이곳의 실정을 알 수도 없었으며 병력을 파견할 여유조차 없었다.

9·28서울수복과 함께 북으로 퇴각하기 위해 몰려든 인민군 패잔병들로부터 지역을 지키는 일은 고스란히 경찰과 지역주민들의 몫으로 남겨졌다.

인민군들의 행패가 심해지자 지역경찰과 도 파견 충북경찰, 지역청년들은 마을을 지키기 위해 자체적으로 경찰부대를 조직하고 인민군과 맞서 싸웠다.

경찰부대를 조직한 이들은 1950∼1951년 단양군 영춘면 남천·의풍·동대리 전투에 각각 참여해 인민군과 교전을 벌였다.

3개 전투(남천·의풍·동대리)에서 당시 꽃다운 나이인 20세 박노대·조병황 순경과 조규현(당시 22세), 고승섭(23세), 석종철(23세), 이원실(26세), 유명근(26세), 이완식(26세), 김태명(29세), 서영수(31세), 박노현 순경(33세)과 김병호 경사(24세), 김치운 경사(30세)등 13명의 경찰관이 순직했다.

한국전쟁은 끝났지만 어려운 국내 사정 등으로 이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점차 사라져 갔다.

단양경찰서는 한국전쟁이 끝난 35년만인 1985년 11월,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무덤을 찾아 선배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이들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교전이 가장 치열했던 이곳에 유해를 안치했다.

매년 6월이면 단양경찰서는 순국 경찰 13인 묘역을 찾아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조국을 위해 승화한 선배 경찰관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넋을 위로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