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10월 26일. 이날 하얼빈에선 대한국 의군 참모중장 안중근 장군은 을사늑약으로 조선을 집어 삼키고 만주를 넘보던 일본제국침략의 선봉장 이등박문을 척살하는 세기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 분께서는 고향 황해도 해주에서 1879년 9월 2일에 태어나서 풍전등화 같은 민족의 운명을 보고, 돈의학교, 삼흥학교 등를 세워 교육운동을 했고, 국채보상운동에도 관서지부를 세워 앞장섰으며, 1907년 7월 말로 조선군대가 해산 당하자 연해주로 망명하여 의병을 모아 조국해방전쟁의 선봉에 서신 분이다. 의롭고, 인자하고, 사려가 깊은 민족의 지도자이셨다.

이등박문을 처단하고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본인은 대한국 의군 참모중장으로서 임무를 띠고 하얼빈에 와서 전쟁을 개시, 습격 후 포로로 잡혀 이곳에 온 것이며, 자신은 만국공법과 국제공법에 의해 재판하는 것이 옳다"고 분명히 하셨다.

또한 자신이 이등박문을 처단한 이유로 민 황후를 시해한 죄, 한국 황제를 폐위한 죄, 을사조약과 정미조약을 강제한 죄, 무고한 한국인을 학살한 죄, 철도, 광산, 산림, 하천, 저수지를 강제로 빼앗은 죄, 군대해산, 교육방해, 유학금지, 교과서 압수 분서, 한국인들이 보호통치를 받길 원한다고 세계에 거짓 퍼트린 죄, 동양평화를 파괴한 죄 등 15개 조목을 들어 당당히 주장을 펼치셨다.

사형선고를 받고도 항소하지 않고, 죽기 전까지 동양평화를 위해 논고를 남기고자 하니 형 집행을 한달 여 늦춰주길 요청하고 재판장의 답변을 받았으나, 집필을 마무리 하지 못한 상태에서 1910년 3월 26일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32세의 일기로 사형 당하셨다.

일제 침략을 응징한 안 의사의 거사 100년을 맞는 올해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5년 광복 60주년 기념으로 안중근 의사 추모를 위한 사업들이 중국정부의 불협조 원만히 이뤄지지 못하다가 지난해부터 협의 진행되어 그 결실로 우리측이 여순 감옥에 국제항일열사관을 조성, 10월 24일 개관 및 흉상 제막식을 갖게 되었고 10월 26일 하얼빈 역 거사의 현장에서 기념식을 거행하기에 이르렀다.

안중근 의사 거사 의미를 되새기자면 우리나라는 국가 권력이 나라를 온전히 보전하지 못하면 망국의 결과 백성이 외세에 지배통치에 의해 핍박 받으며, 도탄에 빠진다는 것이며, 평화를 지키기 위해 나를 튼튼히 방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 더 중요한 것은 의사께서 남긴 "이익을 보거든 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치라(見利思義 見危授命)"는 유묵의 글처럼 정의를 위해서 결단하는 의인의 자세이며, 어질음, 예의, 겸손, 공부 등 인간성을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상이고, 나라와 백성을 위해 세상이 올바로 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으로 훌륭한 인물을 기리고 본 받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 분을 국민적으로 존경하고 따르는 실천운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중국과 일본(미) 두 강국이 각축하는 동아시아는 위태로운 화약고이다. <동양평화론>은 한, 중, 일의 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셨다. '일치중국을 위한 동북공정', 식민지침략의 반성과 사과가 없는 일본, 아직 화해하기 어렵지만, 오늘과 미래를 위해서는 정의와 평화의 원칙에 기초한 상호간의 이해와 공조가 있어야 한다.

다시 한번 안의사님의 백년전 결단에 존경심을 가지며, 오는 10월 26일 하얼빈과 대련에서 이뤄지는 안중근 의사 거사 100주년 기념과 추모 행사가 아시아 역사의 새로운 계기를 이뤄가는 토대가 되길 간절히 바란다.

▲ 정지성
문화사랑모임 대표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