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현 연구관(국립중앙과학관)

세계의 과학문화유산 '상감청자'

청자는 고려시대 공예를 대표하는 것 가운데 하나로 `비색청자`라 불리며, 나아가 우리 겨레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과학문화유산이다.

비색(翡色)은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출토되고 있는 아름다운 청록색의 보석, 비취의 색에 가깝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으로 중국의 비색(?色)과는 다르며 색상의 아름다움은 중국의 것을 능가하였다.

청자의 색은 철에 의한 색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환원소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색으로 되어 있다. 청자 잿물은 밑바탕에 입힌 2가의 철이온이 들어있는 일종의 규산염 유리이다. 따라서 청자 잿물의 색은 유리 속에 들어있는 2가의 철이온의 색이라고 할 수 있는데, 회청색에 엷은 연두색의 감도는 듯한 은은한 비취색이 탄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청자는 비색과 상감기법(象嵌技法)에서 뛰어난 기술과 독창성을 보이는데, 그 형태와 무늬, 표현 그리고 조형성에서도 고려 사람들의 미적 감각을 살펴볼 수 있다.

상감기법은 단순히 기물에 선이나 면을 파고 다른 재료를 감입하여 장식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물질을 붙여 수축율과 녹는 온도를 알맞게 맞추어 주어야만 하고, 유리질 유약을 씌워 높은 온도에서 자기화 시키고, 또한 가마 안의 분위기를 조절하여 색이 뚜렷이 발색되도록 하여 겉에 그림을 그린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을 주는 상감청자를 탄생시키게 된데 그 중요성이 있다. 이러한 모습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름 없는 도공의 끊임없는 실험정신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상감작업에서 찾아볼 수 있는 주요한 기술은 바탕흙인 태토와 같은 수축팽창계수를 갖도록 백토와 자토를 마련하는데 있다. 만약 수축팽창계수가 같지 않으면 떨어지거나 균열이 생기고 오므라들 수 있기 때문이다.

수축팽창계수를 같게 하기 위하여 백토?자토와 물의 배합이 중요한데 백토를 날그릇에 붓으로 발랐을 때 흐르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백토상감을 할 때 백토를 붓으로 기물 전체에 발라 같은 조건으로 태토와 백토가 마르도록 하였고, 백토를 깎아낼 때 태토와 고르게 면을 맞추었다.

백토?자토의 조건과 더불어 바탕흙의 마른 정도, 즉 습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이유는 바탕흙이 너무 건조하면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백토를 밀어 넣는 순간에 수분을 빨아들여 파낸 선이나 면에 고루 채워지지를 못하거나 기포가 생기기 때문이다.

수축팽창계수와 함께 중요한 또 하나의 기술로는 태토와 백토?자토의 자기화 온도를 맞추었다는 점이다. 만약 자기화 온도가 맞지 않아 태토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감면에 미세한 구멍이 생기거나 겉면 위로 툭 튀어나오게 되고, 낮을 경우에는 먼저 녹아 문양이 흐리게 된다.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자기화온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탕흙과 같은 조건의 원료 또는 바탕흙을 기초 원료로 하고 착색산화물을 첨가하여 백토와 자토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우리 선조들의 재료에 대한 물리?화학성질에 밝은 과학슬기가 뛰어나 고려시대부터 수축팽창계수와 자기화 온도가 같도록 백토와 자토 등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당대 최고의 하이테크기술인 최상품의 상감청자를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윤용현연구관(국립중앙과학관)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