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재 준 (전 본지 편집국장·전 충북도문화재위원)

세계적인 과학 산물이며 우리 청주의 자랑인 '직지심체요절'(1377년)의 흥덕자(興德字)보다 최소 138년 이상 앞서 주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시대 금속활자가 나왔다고 여러 신문들이 앞 다퉈 보도하고 있다. 서지학자 남모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모 고미술품전시에 나온 12점의 금속활자가 직지심체요절보다 앞선 13세기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 교수가 파악한 금속활자는 '明·所·於·菩·善·平·方·法·我·福·不·子'라고 한다.
남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이들 금속활자는 삼성출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려 고종 26년(1239년)에 찍은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보물 758호)의 글자체와 일치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증도가의 권말에는 무신정권의 권력자였던 최이(崔怡)가 금속활자판 '증도가'를 목판으로 복각해 찍었다고 기록돼 있으며 남 교수는 이 금속활자를 증도가를 인쇄한 활자라는 이유로 '증도가자(字)'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위 '증도가자' 의구심 많아

직지보다 앞선 고려금속활자가 찾아졌다면 이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현재 한국에는 북한 개경박물관에 1점 국립박물관에 1점이 소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청주 고인쇄 박물관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보도로 직지의 고향 청주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것 같다. 직지문화행사도 고려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성급론도 제기되고 있다 한다. 그러나 필자는 당황할 것도 없고 행사 축소 운운 같은 성급한 생각은 불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해둔다.
고려 금속활자는 금속활자고 직지는 직지다. 직지 흥덕자보다 앞선 시기의 활자가 설령 찾아졌다고 해서 직지의 가치가 상실 되지 않는다. 남명천화상증도가는 본래는 금속활자로 찍은 것이나 현존하는 것은 후에 목각으로 인쇄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책이다. 그런 점에서 직지심체요절과는 다른 성격이다. 직지는 바로 간기(刊記)가 뚜렷한 지금까지 찾아진 금속활자본 가운데 국제적으로 공인 된 가장 앞선 시기의 금속활자 인쇄본인 것이다. 새로 발견 된 금속활자 12점에 대한 의구심은 비단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과학적 분석 등 연구 따라야

첫째 이 유물은 고미술품전시회에 불쑥 등장한 것인데 소위 근거가 불충분하다. 즉 출토지라든지 어떤 경로로 유물을 구입했는지 그 연원을 밝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골동상으로부터 구입했는지 혹 중국에서 넘어 온 물건은 아닌지 반드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동제품의 경우 한국 골동가에는 가짜가 판을 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중국에서는 전문가도 속을 만큼 가짜를 만들어 한국시장에 보낸다.
둘째 과학적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사진 상으로 본 금속활자는 여러 부분에서 의구심을 갖게 한다. 1천년 전의 유물로 보기에는 동(銅)의 색깔이나 부식도에 문제가 있다. 특히 인쇄면을 끌로 갈은 흔적은 보다 정밀하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또 유물을 보면 현존하는 고려시대 금속활자의 모양이나 부식도와 대조를 이룬다. 발표자 남 교수는 이런 점에서 성급한 판단을 내린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전문가들이 오랜 시간을 두고 분석해 비교 자료를 내 놓아야 할 것이다. 이번에 발견된 금속활자의 진위와 분석은 개인 학자들에게 맡기지 말고 국립박물관 같은 국가 전문 연구기관이 담당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싶다. 거듭 얘기하지만 만약 새로 발견 된 금속활자가 고려유물이라고 해도 흥덕사 유지나 청주 직지 고인쇄 박물관의 가치나 위상이 훼손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흥덕사 유지는 한국 고인쇄문화의 세계적 메카이며 현재까지 찾아 진 가장 오래 돤 금속활자로 찍은 진본(眞本)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번에 찾아 진 금속활자가 고려시대 활자로 판정될 경우 그 유물의 소장처로 청주고인쇄박물관을 권하고 싶다./이재준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