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으로도 어릴 적 겨울은 매우 혹독했다. 손이 얼어터질 정도였으며 명암저수지는 춘삼월이 다 되도록 두꺼운 얼음을 이고 있었다. 제일 고역이었던 것은 아침에 일어나 세수할 때였다. 지금이야 집안에 화장실, 욕실이 들어있어 겨울인들 무슨 걱정이 있겠느냐만 아주 오래(?) 전의 생활은 그게 아니었다. 더운 물을 쓴다고 하나 주로 우물가에서 세수를 해야 하니 얼어붙은 바닥에 쩍쩍 달라붙는 고무신을 추스르며 한기(寒氣)를 견뎌야 했던 것, 지금 생각해도 갸륵하기만 하다.

산으로 들로 뛰어다니던 때가 있었다. 마땅히 놀 곳이 없었던 시절, 골목이 놀이터요 들판이 운동장이었다. 한 차례 소나기가 지나가면 산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동네 뒤편 도랑으로 갔다. 깨 같은 곡식을 까부르는 굵은 발의 체 - 흔히 '얼기미'라고 불렀는데 모래나 검불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도구 -를 들고. 비 온 뒤의 도랑에선 미꾸라지가 잡혔다. 물가의 풀숲에 얼기미를 대고 발로 몇 번 훑으면 몸서리를 치며 미꾸라지가 올라왔다. 그런 날 저녁은 고춧가루를 푼 미꾸라지 매운탕이 모자란 단백질을 채워 주었다.

명절에 가는 시골은 활력이 넘쳤다. 흩어졌던 씨족들이 잠시나마 모여 '차례'를 지내며 하나의 공동체임을 확인하는 이 날은 일종의 축제이자 잔칫날이었다. 가지런히 차려진 차례 상은 물론이고 순서와 절차 무엇 하나 소홀히 해선 안 되는 엄숙한 의식, 거기서 남자와 여자가 갈리고, 어른과 아이가 다름을 배웠다. 차례 의식에는 남자들만 참여할 수 있다는 걸. 어른들은 가까이 하기 너무나 어려운 존재라는 걸. 그런 시골이 지금은 없다. 어른도 떠나고 공동체도 무너졌다. 그렇게 소중히 간직하고자 했던 가문의 영광이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장발(長髮)에 나팔바지를 하고 대학을 다녔다. 당시의 사진을 들여다보면 웃음부터 나오지만 그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 뒤처지는 사람이었다. 어딘가 모르게 맹꽁이 같은 녀석으로 취급받으며. 시내의 길목을 막아선 경찰이 가위를 들이댔다. 심지어 버스 안까지 올라와 알량하게 부여된 권력을 마구잡이로 휘둘렀다. 미풍양속을 지킨다는 이유로 말이다. 무던히도 암울했던 시절, 우리의 젊은이들이 그들의 꿈을, 그들의 자존심을 뭉텅 잘려나간 머리카락처럼 길바닥에 팽개쳐야 했으니 아! 아련하다, 그 시절이.

흘러간 과거의 삽화는 그 자체로 아름답다. 흉터처럼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하더라도 오늘의 나를 있게 한 발자취요, 삶의 흔적이기에 회상하는 것만으로도 흐뭇하다. 더구나 그것이 사회의 토대를 굳건히 하고 신뢰의 공동체를 만드는데 기여했다면 오늘도 살아 꿈틀대는 과거에 대해 어찌 옷깃을 여미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시간은 돌릴 수 없는 것, 과거는 과거일 뿐이다. 장강(長江)의 앞 물결은 소임을 다하고 유유히 밀려가지 않는가.

뉴스에선 몇 십 년만의 추위에 폭설이라고 한다. 이상 기후를 분석하는 기상요원이 심각한 표정을 지으며 열심히 손을 젓는다. 대통령은 신년을 맞아 세계로 뻗어가는 국운 상승을 이어가자며 30분 가깝게 tv를 붙들고 있다. 그가 내놓은 장밋빛 전망들이 허공을 때리며 머리를 어지럽힌다. 해가 바뀌었으나 여전히 일방적인 수사(修辭)들, 다시 돌아가는 낡은 축음기. 2011년의 벽두에서 부스스한 장발의 내 모습을 본다. 얼음이 언 우물가로 돌아가야 하나. 경찰의 가위에 머리를 맡겨야 하나.

/김홍성 청주ymca 사무총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