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세몰이 갈수록 결집

여당인 한나라당을 제외한 민주당, 선진당 등 야권과 시민사회단체 는 요즘 물만난 고기이다.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을 놓고 대통령이 불을 지핀 충청권 배제론에 대한 성토와 관련법 개정을 요구하는 화력집중 때문이다. 충남·북지사와 대전시장 등 광역단체장이 긴급회동을 통해 "공약이행" 선창을 하면 지방의회 의원들이 서울 국회까지 올라가 후창을 하고 야당 국회의원들은 간간히 베이스를 넣으며 화음을 맞추고 있다. 여기에 시민사회단체들은 코러스로 대정부 메시아를 열창하고 있다. 1년여전 세종시 수정안의 갈등이 리바이벌 되고 있는 것 같다. 어찌 이리 똑같아지는지 참말로 '정치가 생물'임을 실감케 한다. 이런 열화와 같은 과학벨트 원안 고수의 행동수순에는 삭발 투쟁같은 것이 예고 되기도 하며 정부나 대통령의 입장변화가 가시화 되지 않는한 길게는 내년 총선과 대선까지 표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것은 당연하다. 그 조짐은 이미 지난 해 지방선거때 세종시 원안 고수로 쏠쏠한 재미를 본 민주당 등이 같은 연장선상에서 한나라당이 그토록 싫어하는 '정략적' 접근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충분히 감지 할 수 있다.여기에어떤 사안에 대해 기민하게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운동권 브레인들이 이 호재를 놓칠리 만무한 바, 역으로 집권당의 대응과 방어논리는 군색하고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궁지로 몰리고 있다.

정부나 한나라당 지도부의 충청도 민심 외면속 일부 측근들이 대통령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는 지원사격이 있지만그럴수록 충청주민의 반감 그래프는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동시에 범야권은 한나라당의 입장과 지역 도당의 입지 찬성 행동대열의 동참 압력을 넣고 있다."왜 지역 최대현안에 침묵을 지키느냐"는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있다. 중앙당은 몰라도 몇 안되는 지역출신 국회의원이나 당직자들, 그리고 내년 총선 출마를 생각하고 있는 잠재적 인물들이 스탠스를 취하기가 여간 난감하지 않음을 꽤뚫는 송곳을 들이대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으로서는 가히 '세종시의 악몽'이 되살아날만 하다. 찬성하자니 청와대의 눈치가 신경쓰이고 안하자니 집권당 등돌리는 소리가 탱크 이동하는 것 만큼이나 되니 입장정리에 솔로몬의 등장을 기대해야 할 만큼 절박하다.

그래서들고나온 것이 실리론이다. 소극적 태도라는 야권의 공세를 벗어나반한나라 부담을 덜고 반전의 기회를 얻고자 엊그제 한나라 충북도당이 침묵을 깨고 입을 열었는데 그 화두가 야권의 세몰이 보다 지역에 실익을 도모할 수 있는 차분하고 치밀한 대응을 하자는 것이다. 그러면서 야당도지사,국회의원,시민사회단체가 과학벨트 문제를 정략적으로 키우는것은 충청권 유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를 했다.다시말해 충청권 입지가 기정사실인데 차분히 기다리면 될 일이지 왜 길거리에서 이벤트성 선동 정치를 하냐는 것이다. 또한 유치 찬성세력과 반대세력의 이분법적 논리로 주민을 현혹하는 야권의 일련 행동을 '꼼수'로 표현하며 갈등구조의 원인제공을 맹비난 하기도 했다.

세종시 논란때도 여당 등에서는 똑같은 실리론을 내세웠었다. 결과적으로 충북의 땅만 일부 뺐겼다는, 그래서 원안확정으로 얻은 게 뭐냐는 역공도 취했었다.냉정하게 보면 세종시 집중의 과학벨트도 충북으로서는 실이익이 적을 수 있지만 지금 풍향계는 그런 차원이 아니라 민주당 의원의 표현대로세종시 수정안 좌절에 대한' mb몽니' 충청권 무시의 자존심 추락에 대한 반감 등의 자연스러운 생성을 가르키고 있다. 그리고 이 그림은 곧 야권의 역작이기도 하다. 한나라당은 세종시의 교훈을 되새겨 보는지 모르겠다.따라서 질풍노도와 같은 야권의 길거리 정치나 구호 정치를 압도할 만한 집권당이 제시하는정책적 대안을 포함한 실리론의 실체를 민심에 전이하는 확신을 보여줘야만 한다.그러면서 공약이행의 선언을 동반해야 한다.뒷북성명에나 열중하는 집권당의 나약함으로는 대중의 지지를 기대하기가 아주 어렵다.

/이정 본보 편집국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