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에 이은 원전 사고는 우리에게도 엄청난 우려와 피해를 주고 있다. 방사능 공포가 확산되면서 봄비가 내린 지난달 일부 학교가 휴교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많은 사람들은 비를 피하기 위해 바깥 출입을 삼갔고 생선이나 식품을 사는데도 조심하고 있다.

일본이 방사능 물질을 바다에 흘려보냈다는 보도 이후에는 소금이나 젓갈류 등의 사재기도 극성을 부린다는 소식이다. 정부는 당초 방사능이 우리에게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발표했다가 전국에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자 태도를 바꿨다. 건강에는 이상이 없지만 방사능 비를 맞지 않는 등 조심하라는 것이다.

충남 홍성지역 소금 취급업소에서는 수도권 주민들로 부터 천일염을 사달라는 주문이 폭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소금값이 30㎏ 들이 한부대에 1만원에서 2만원으로 두배나 올랐다는 것이다. 소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일부 도매인들은 사재기에 극성을 부리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소금 뿐 아니라 젓갈류도 마찬가지다. 토굴 새우젓으로 유명한 광천지역에는 젓갈류를 사려는 대도시 주민들이 몰려 매출이 급증하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우젓 판매업소는 예년의 3~4배 정도 판매량이 폭증하고 있다. 방사능 공포가 아니면 발생하지 않을 기 현상이다.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의 등급을 최악인 7등급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1986년 옛 소련의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최악의 원전 사고와 레벨이 같은 것이다. 체르노빌 사고의 경우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방사성 물질이 대량 확산돼 56명이 사망하고 이후 수천 명 이상이 방사선 피폭에 따른 후유증으로 숨졌다.

원전 사고의 평가척도는 사고의 규모와 심각성을 감안해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설정한 레벨 0에서 최악인 레벨7까지 8등급으로 구분된다. 7등급은 대형 사고로, 방사성 물질의 대량 유출에 의해 인체 및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이 발생하여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대응 조치가 요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최악의 레벨인 7등급으로 격상 된 것도 우려스럽지만 일본에서 계속하여 여진이 발생하는 것이 큰 문제다. 일본이 사고 수습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규모 6.0 이상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어 통제 불능의 사태가 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체르노빌 사고와 똑같은 수준의 사고 등급이라 한다면 앞으로 수십명이 사망하고 방사선 피폭으로 수천명이 후유증으로 숨질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같은 직접 피해가 우리나라 까지 오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간접 피해는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즉 일본에서 수입한 농산물이나 수산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다든지 아니면 일본이 바다에 방류한 방사능 물질에 의한 해양 오염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가장 가까운 나라인 우리나라에 방사능 물질이 바람을 타고 직접 건너 올 수 있다는 것 등이 걱정이다. 이같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정확한 정보를 입수, 국민에게 알려줘야 한다. 너무 안이한 대책은 국민들의 불안만 가중 시킨다.

우리 정부는 일본에 바다 오염과 관련하여 해역 수질의 공동조사를 요구했다. 일본의 오염수 방출로 어업에 영향을 주고 있고 관련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질 오염 뿐 아니라 대기 오염이나 방사능 비에 대한 데이터도 필요하기 때문에 일본은 우리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원전 사고를 거울삼아 우리의 원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원전은 언제든지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조무주 논설실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