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단 하루 남았다. 이번 선거는 그 어느 때보다 '다 해 준다'는 포퓰리즘이 판을 치고, '상대방 죽이기' 식 비난전이 끊이지 않는 등 네거티브가 극에 달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선거를 굳이 해야 하는 지 회의에 빠져 투표를 해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를 고민하는 유권자들이 부지기수다.


- 추잡한 선거의 극치


총선은 4년간 대한민국의 정치를 책임졌던 정당과 지난 선거에서 당선된 국회의원들의 행적에 대한 평가의 기회다. 국회의원들은 의정활동 4년에 대한 심판을 받고, 도전자들은 기존 정치인보다 차별화된 전략·공약으로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통과의례다. 그렇지만 이번 선거를 지켜본 상당수의 유권자들은 책임지지 못할 공약(空約)에 혀를 내두르고, 구정물보다 지저분한 네거티브에 치를 떨어야 했다. 경쟁이 치열해진 탓도 있겠지만, 정책 대결로 유권자의 선택을 받기보다는 일방적인 네거티브로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 일단 당선만 되고 보자는 '추잡한 선거'의 극치를 보여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북의 정치1번지' 청주 상당의 경우 부총리·국회부의장·3선의 홍재형 후보와 해양수산부장관·충북지사·2선을 역임한 정우택 후보의 '거물 정치인' 대결로 일찌감치 전국적인 관심 지역으로 꼽혔고, '불만한 게임'으로 평가됐다. 그렇지만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네거티브가 극에 달하면서 '추악한 정치1번지'로 추락됐다. 비방이나 흠집내기를 넘어 아예 '한방에 죽이기' 식으로 일관된 '썪은 선거판'이 됐다. 보은·옥천·영동도 마찬가지다. 재력가인 새누리당 박덕흠 후보와 국회 부의장을 지낸 이용희 의원의 아들인 민주통합당 이재한 후보간의 선거전도 진흙탕이 됐다. '돈봉투' 사건으로 비난전이 이어졌고, 고소·고발로 치달았다. 천안지역도 새누리당 김호연·자유선진당 박상돈 후보, 새누리당 전용학·민주통합당 양승조 후보가 상대방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소·고발, 선거 종료 후에도 상당한 후유증이 예상될 정도로 난타전을 벌였다. 대전도 후보간 흠집 내기가 끊이지 않았다. 이런 선거가 과연 유권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겠는가. 그동안 다소의 잡음은 있었지만 이번처럼 네거티브가 판을 치고 극성을 부렸다는 비판·비난은 받지 않아왔던 '양반의 고장' 선거판이 왜 이 지경이 됐는 지 의문이다.


- 잘못된 선택은 유권자 책임


대한민국 헌법 1조2항에는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돼 있다. 헌법에 명시된 대로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게 마련이다.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정치인들이 국민을 무서워하게 만들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정치인들은 일단 당선만 되면 표를 준 유권자를 눈꼽 만큼도 여기지 않는 게 그동안의 행태가 아니었는가. 선거철만 되면 손잡고, 머리 숙이고, 큰 절하며 표를 달라고 읍소하지만 선택받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안면 바꾸기가 몸에 밴 게 그들이다. 공천을 받기 위해 당에 충성하고, 눈치 보는 데 전력을 다한 뒤에는 유권자들에게 표를 얻기 위해 애걸한다. 목적은 오로지 금배지 하나다. 잠시의 '쪽팔림'은 '등따시고 배부른 4년'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번 선거에서는 누가 주인인지, 누구에게 충성을 다해야 하는 지 확실하게 가르쳐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정적이고 악의적인 네거티브에 흔들리지 말고 인물 됨됨이와 당선 후 약속을 제대로 지킬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 '눈 가리고 아웅' 식 선거 운동을 한 후보에게 표를 던져서는 절대 안된다. 그 피해가 지역과 유권자 자신에게 고스란히 돌아오기 때문이다. 잘되거나, 잘못된 선택의 책임은 모두 유권자에게 있다. 자신과 가족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



/김헌섭 편집부국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