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환경부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물'에 관한 각종 문제를 제기했다.

지하수의 경우 환경부가 지난해 전국 2천462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조사한 결과 6.3%가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며 내년에 36억원을 들여 지하수측정망 13곳을 늘리고 체계적 관리를 위해 2011년까지 16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전체 지하수 측정지점 중 6%만 수질기준을 초과했는데도 관련 예산을 늘리는 것은 지하수 수질관리 및 식중독 문제가 전국 곳곳에서 끊이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는 환경부의 지하수 수질측정 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지하수 오염은 주로 토양과 가까운 지점에서 발생하는데도 환경부는수질측정망을 주로 30m 이상 깊은 곳에 설치해 토양 표면부의 수질오염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약수터와 샘터, 우물 등 먹는 물 공동시설은 5곳 중 1곳 꼴로 미생물 기준등 수질 기준을 초과했고 특히 인천지역은 물 공동시설의 50%가 먹는 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데 대해 특단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우원식 의원은 소비자들이 믿고 사는 '생수' 조차 수질기준을 초과해 행정처분을 받은데다 대기업이 oem(주문자 상품부착)업체들로부터 싼 값에 생수를 납품받아 브랜드를 붙여 비싸게 판다고 지적했다.

생수 제조업체들은 2003∼2006년 수질기준 초과나 시설관리 미흡으로 164건의 행정처분을 받았고 3년 연속 행정처분을 받은 가지산샘물·가평청정·수산음료 등 업체들은 자체 브랜드 판매 뿐만 아니라 대기업에도 납품하고 있다.

18.9ℓ들이 가정용 생수의 생산원가와 소비자가격의 배율을 보면 제주광천수는 1.8배인 반면 ㈜하이엠샘물로부터 납품받아 풀무원샘물㈜이 판매하는 제품은 37.6배에 달했다.

수돗물의 경우 국정홍보처가 3천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사람은 1.7%에 불과했고 그 이유로는 43.9%가 '막연히 불안해서', 26.

3%가 '냄새가 나서'라고 답했다.

상수도보급률 또한 광역시는 98.9%인 반면 면단위 농어촌지역은 37.7%에 불과하고 노후된 수도관 등으로 인한 누수율은 시·군별로 3∼70%에 달했다.

또 경부운하 공약과 팔당취수장 이전문제, 북한강 탁수문제, 물산업 육성 등 물과 관련된 질의가 잇따랐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