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선을 앞두고 여·야가 대통령 후보를 어떻게 뽑느냐를 놓고 신경전이 한창이다.우선 범야권은 민주통합당에서 당내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하면 당외 시민후보와 2차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내 경선에서는 손학규 전 대표, 문재인 고문, 김두관 경남지사, 정동영 의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추세로 보면 문재인 고문과 김두관 경남지사가 유력할 것으로 정망되며 이들 중에 한명이 민주당 후보로 결정되면 시민후보라 할 수 있는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 2차 경선에 의해 범야권 단일 후보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안 교수에게 민주당에 입당하여 당 경선에 나설 것을 요구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안 교수가 이를 선택할 가능성이 낮다. 지난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시장에 당선된 것도 야권 단일 후보 경선을 통해 후보로 결정됐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전통의 민주당이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한뒤 아무런 검증도 받지 않은 안 교수와 2차 경선을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비난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안 교수가 비록 여론조사에서 앞서고는 있지만 경선을 통해 시민후보가 된 것도 아니고 단지 인기가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2차 경선 대상자로 선정하여 최종 후보를 뽑는 것이 말이 되느냐 하는 비난이다.

안 교수 측이 제3당을 만들어 이 당의 후보로 2차 경선에 나선다면 설득력이 있지만 단지 서울대 교수일 뿐인데 전통의 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붙도록 한다는 것은 민주당의 수치라는 주장이다. 이같은 비난이 있지만 지금의 추세로 보면 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교수가 범야권 단일 후보로 경쟁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새누리당은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등 비박 주자들이 완전국민경선제를 요구하여 논란이 뜨겁다. 이들은 국민경선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경선을 보이콧 하겠다고 버티고 있어 지도부도 난감한 실정이다. 국민경선은 장단점이 있다. 기존의 경선 방법으로 경선을 치루면 비박 주자들이 박근혜 전 대표와 너무나 많은 차이가 날것이다. 비박 주자들이 박 전 대표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그나마 국민경선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경선 방식은 대의원과 당원 50%, 일반국민 선거인단과 여론조사 결과를 각각 30%, 20%로 반영해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2005년 홍준표 의원이 위원장을 맡았던 한나라당 혁신위원회가 내놓은 안을 당시 박 전 대표가 수용하여 확정됐다.

비박 주자들의 요구는 다소 물의가 있어 보인다. 박 전 대표가 말했듯이 선수가 룰을 따라야지 룰을 바꿔야 경기에 나설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완전국민경선이 그렇게 좋은 제도라면 이번 대통령 선거가 아니라 다음 선거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고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6개월 밖에 남지 않은 대선을 앞두고 룰을 고치자는 것은 무리다.

지난 15일 새누리당 지도부와 비박 주자 측이 회동을 가졌으나 입장차만 확인했다고 한다. 이들은 '경선룰 논의기구가 필요하다'는 원칙에는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방법에는 이견을 보였다. 비박 주자 측은 별도의 논의기구를 만들자고 했으나 지도부는 이를 받아 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별도 기구가 어떤 안을 만들더라도 양측이 혼쾌히 받아 들이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비박 주자들은 갈때까지 가다가 기존의 룰대로 후보 경선에 나서는 사람도 있고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완전국민경선으로 바꾸는 것이 무리라는 것을 본인들도 잘알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새누리당은 현재의 당헌·당규에 따라 대선 120일 전인 8월 21일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할 것으로 보인다. 어떻튼 이렇게 선출된 여·야 후보는 12월 19일 역사적인 대선을 통해 청와대 주인을 가리게 된다. 18대 대통령 선거가 어느때 보다 관심 받는 이유다.



/조무주 논설실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