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구조가 튼튼하고 안정되려면 중산층의 폭이 두터워야 한다.

청주지역의 중산층을 구성하고 있는 부류 중 하나가 도심상권의 상인들이다. 이들은 적게는 2-3명에서 많게는 10여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이기도 하다. 국세는 물론 지방세를 납부하며 지역사회의 뿌리역할을 하는 애국자이자 지역지킴이다.

그런 이들이 대형 유통업체의 잇따른 개점을 앞두고 노심초사하고 있다. 매출 하락과 수년간 함께 일해 온 직원들의 이탈을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 정관계는 이들에 대해 우려스러울 정도로 무관심하다. 전통시장 상인들에 비해 여건이 좋지 않으냐는 이유가 배경에 깔려있다.

이런 시각 때문에 도심상권 상인들은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도심상권 관계자는 "마치 전통시장 상인 수준으로 생활고를 겪어야 그때서 신경 쓸 것처럼 한다"며 애를 태웠다. 지자체는 대형 유통업체의 출점에 따른 지역 상권변화나 영향 등에 대해 기본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 전임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확보한 국비로 '청주시상권활성화재단'을 만든 후 할 일을 다 했다는 것으로 비쳐진다. 하지만 이 재단에는 직원 3명이 고작이다. 이들중 상권전문가는 단 한명 뿐이다.

재단 직원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한들 결국 인원 부족과 자치단체의 관심 부족으로 얼마나 많은 성과를 달성할지는 미지수다. 재단에 전문가를 더 초빙하고 이들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 도심을 중심으로 규제하고 있는 여러 건축 관련 제재들도 과감히 철폐해야 한다. 예전에 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해 대화하던 중 마지막에 가서는 "나는 시내에 땅 한 평 없다"며 나몰라라는 했던 시청 모 직원의 말이 아직도 귀에 생생하다. 정·관계는 도심 상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자만하지 말아야 한다.



/김홍민(경제부 차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