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공기업선진화 방안의 야심작 1탄이 될 뻔한 청주국제공항 민영화가 날지도 못하고 꺾여 버렸다. 1년전 매각 대상자로 선정된 청주공항관리(주)가 납입금 시한을 지키지 못해 공항공사가 원칙(?)대로 계약을 해지한데 따른 것이다. 운용인원 100여명을 뽑고 2월1일 출범을 기대했던 회사측으로서는 황당하고 청천 날벼락일지 모르지만 계약을 위반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니 만큼 하소연도 공항의 삭풍처럼 공허하다. 물론 외국계은행의 실수로 납부 시한을 불과 1시간45분 넘겨 외부 자본이 들어오는바람에 미리 연기 요청을 했다곤 해도 납부 연기가 특혜라는 차후의 정치권 등의 포화를 공항공사 측으로서는 감내하기 어려웠을 것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사정이 딱하긴 하지만회사의 명줄이 걸린 수백억원 자금의 마련과 운용에 면밀함이 없는 처신 역시 뭐라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민영화 무산 앞날 불투명



여러 가지 이유로 청주공항 민영화 재추진이 쉽지 않아 보이는 가운데 이제 지역에 떨어진 과제는 어떤 형태로 활성화를 현실로 만드느냐는 것이다.5년전 공항공사가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14개 공항중 청주국제공항을 첫 번째 민영화 대상으로 결정했을 당시는 분명 청사진이 있었지만 시도도 못한 채 접게 된 이상 시물레이션 이상의 성과를 도출해야 반대의 명분을 상쇄하고 남음은 당연하다. 그 중심에 충북도의 의지와 지략, 열정 등이 수반돼야 하는데 민영화 무산 직후 도의 반응은 실망스럽다. 비약일지 모르지만 ‘이 참에 오히려 잘됐다’라는 은근한 즐김도 감지되고 있다.왜냐고?, 민선 4기때 先 민영화 後 활성화의 등식에서 5기 들어서 先 활성화 後민영화로 기조가 바뀐 상태에서 정부의 밀어부치기가 마뜩치 않았지만 민간운영자에 자치단체 지분 참여라든지 공항활성화에 지방예산 분담 투입 등의 보조를 맞첬는데 이제 그런 타의적 족쇄를 벗고원점 회귀의 구실을 찾았다는데 대한 득의의 타이밍이 도래한 덕분이라고 보여진다.

이것이 원론적으로 활성화 대책을 정부에 촉구하는 제스처를 취하긴 했지만 진정성과 중량감이 전달되지 않는 이유이다.


- 활성화 실현까지 첩첩산중



이 상황에서 냉철히 짚어보자.청주공항 활성화는 15년전 개항때부터 외쳐왔던 일이다. 정치적 산물이 됐든 어쨌든 만들어 놨으니 잘 키워야 하는 것은 남겨진 자들의 몫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대로 된 국제 정기노선 하나 변변치 않고 떳다방처럼 한 철 반짝하는 부정기 노선만 중국,동남아 등에 편중됐었다. 연 130만명 이용자라고 하지만 90% 이상이 제주를 찾는 사람들이어서 무늬만 국제공항이라는 오명도 떨치기가 쉽지 않다. 지자체에서 나름대로 노력을 했다고 하지만 숲이 아닌 나무만 보는 리트머스식 활성화의 소산물이다. 공항역이라고 만들어 놓은 것이 하루 이용객이 손으로 꼽을 만큼인 것 역시 전시행정의 표본이다. 2,744m 인 활주로만 연장하면 만사형통인가.설령 대형항공기가 이착륙은 할지 몰라도 계류장이 비좁아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 공군과 같이 사용하는 한 해결은 요원하다.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하는 국제노선 유치를 위한 항공사와와의 줄다리기도 이윤 추구라는 기본앞에 무색해진다. 공항전철 연장도 지금 같은 분위기라면 기대 난망이다. 더 큰 암초는 박근혜당선인의 지역공약에 들어 있는 동남권신공항의 추진 여부이다. 벌써 그 지역에서는 위치를 놓고 밀고당기는 조짐이 보인다는데 자칫 청주공항은 미운 오리새끼가 되지 않을런지 걱정이다. 인천과 김포에 차이고 동남권에 밀리면 지금 같은 정치력이나 중앙에 대한 영향력이 쇄락한 상황에서 얼마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까 심히 걱정스럽다. 계륵(鷄肋)이 되느냐,중부권 허브 공항이 되느냐, 청주국제공항은 지금 중대한 고비를 맞고 있다.



/이정 편집국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