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총리회담이 공동합의문을 채택하고 폐막됐다. 이번 회담은 분위기는 시종 진지하고 여느 때보다 좋았다는 후문이다. 과거 남북총리회담과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그만큼 남북관계가 예전과 달라졌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남북총리회담은 참여정부의 임기 막바지에, 그것도 대선 정국이 각종 핫이슈로 뜨겁게 달아오른 가운데 열려 국민과 여론의 관심을 그다지 끌지 못했다. 그러나 그에 반비례해 총리회담의 결실은 알찼다. 남북은 총리회담과 부총리급 경제협력공동위원회를 6개월에 한 차례씩 열고 제2차 총리회담을 내년 상반기 평양에서, 1차 경협공동위를 다음달 4~6일 서울에서 각각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개성공단 활성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추진과 서해평화수역 지정 및 관리, 다음달 11일 경의선 문산~봉동 구간 화물열차 운행 개시, 개성~평양 고속도로와 개성~신의주 철도 개보수 공사 착공, 이산가족 간 영상편지 교환 시범 실시, 다음달 7일 금강산면회소의 쌍방 사무소 준공식 등 남북 간 제 분야 협력 사업이 구체화됐다.

남북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존 공영과 화해 협력을 기초로 한 신뢰와 실천이다. 남북 간의 굳건한 신뢰 구축 없는 평화 통일은 빈말에 불과하다. 신뢰 구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북 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활성화되고 통신 교류도 확대돼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총리회담과 부총리급 경제협력공동위를 6개월에 한 차례씩 열도록 정례화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개성공단을 활성화하기 위해 1만 회선 능력의 통신센터를 올해 착공, 내년부터 인터넷과 유.무선전화 서비스를 시작하고 연내 남측 인원과 차량이 오전 7시부터 밤 10시까지 공단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합의한 것도 남북 간 교류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남북총리회담의 총론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체화하고 각론적으로 실천하려면 넘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먼저 북측의 군사적 보장 조치와 약속 이행이 확보돼야 한다. 남측도 12월 대선 및 새 정권 출범과 관계없이 합의 사항을 지켜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 가운데 남북 정상 간 정례적 교차 방문도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