管鮑之交 관포지교

管 피리 관:피리, 대롱

鮑 절인어물 포:절인 어물, 전복

之 갈 지:가다, 이(지시대명사), ∼의(관형격조사)

交 사귈 교:사귀다, 주고받고 하다

풀이-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말로서 영원히 변치 않는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가리키는 말이다.

유래-<사기>의 '관중열전'에 보면, 관중의 이름은 이오이고 춘추시대 초기 제나라 사람이다. 젊어서부터 포숙아와 둘도 없는 친구였다.

포숙아도 관중의 비범한 재능에 진심으로 반해 항상 그의 동정자이며 이해자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 때, 적이 되어 서로가 모시는 왕자를 제나라 왕위에 오르게 하려고 전쟁을 하다가 관중이 져서 포박을 당하여 포숙아가 모신 왕자(제 나라 환공) 앞으로 압송되어 죄를 물어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

환공은 자기의 생명을 노린 원수인 관중의 목을 베어 분을 풀려고 했으나 포숙아가 옛 우정을 잊지 않고 또한 관중의 정치적 재능에 대하여 깊은 신뢰가 있어서, 환공에게 말하기를 "제나라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천하의 패자가 되시려면 관중을 중용하셔야 합니다"라고 권하였다.

아량과 식견이 넓은 환공은 자신이 신뢰하는 포숙아의 충고를 받아들이고 죄인인 관중을 흔쾌히 받아들여 대부에 임명하고 정치를 맡겼다.

관중은 국민경제의 안정에 입각한 덕본주의(德本主義)의 선정을 베풀어 마침내 환공을 춘추오패의 한 사람으로 되게 하여 보답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있게 된 것은 환공의 출중한 관용과 관중의 재능이 서로 맞아 떨어진 것이지만 그 출발점에는 포숙아의 관중에 대한 변치 않는 우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세월이 흘러 노년이 된 관중은 포숙아에 대한 감사의 뜻을 회고하면서 남긴 말 중에 그 유명한 말이 "나를 낳아 주신 분은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 준 사람은 포숙아이다"인 것이다.

이런 정도까지 자기를 알아주는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두 사람의 우정에 부러움을 느낀다. 이 기회에 우리의 우정도 챙겨보자. <시인·전북대 출강>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