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활성화 해법은 인프라 구축이 관건 =공항명칭 변경 무지한 주장

청주국제공항이 또 논란이다.

노회(경험이 많아 교활함)한 지역 위정자들이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을 떠넘기려는 궤변이 혼란만 부추기고 있다. 최근엔 민영화 논란에다 무지한 일부 시민운동가에 의해 공항 명칭 변경까지 거론되고 있다. 1997년 개항된 청주국제공항은 사실 말 뿐이 국제공항이지 동네공항과 다름없는 현실이다.

제주 외엔 국내 정기노선이 없는 데다 국제노선 또한 중국 일본 대만 등에 간혹 운항되는 비정기 노선 밖에 없다. 이로인해 충청권 주민들조차 해외를 갈 땐 집 앞 공항을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개항된지 16년 동안 이렇다할 투자없이 청주~제주간 운항만 반복했으니 운영에 적자가 나는 것은 당연한 원리다. 주민반대 속에 추진해 놓고 ‘짐이 되는 건 던져버리는’대한민국 무책임한 관료들이 내놓은 해법은 ‘민영화’였다. 2009년부터 공기업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이 바로 그 것이다.

하지만 지난 1월 공항운영권 매매계약을 체결했던 청주공항관리(주)가 매입 대금을 내지않아 계약 해지와 함께 민영화가 무산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공항공사 선진화 추진위원회' 를 열고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전략 수립 컨설팅 시행계획'을 가결했다.

민영화를 재 추진하겠다는 것인 데 이에 충북도와 시민사회단체가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충북도는"'공항 활성화 없이 민영화 논의 없다'는 원칙에 따라 활주로 확장, 화물청사 증축, 여객청사 리모델링,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연장 등을 촉구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도 공항 민영화 재추진 방침을 철회해 달며"정부는 청주공항이 세종특별시의 관문공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인프라 확충 방안을 표명하라"고 촉구하는 한편 충북도에 대해선 "활주로 연장과 국제 정기노선 확충 등 공항 활성화 대책이 본 궤도에 오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확한 해법이다.

청주공항이 현재의 초라한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는 건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데 있다. 지금이라고 활주로 확장, 화물청사, 신축 국내외 정기노선 개설 등이 확충된다면 활성화는 걱정할 게 없다. 그런데 공항활성화 일환으로 공항명칭을 ‘청주·세공공항’이니 ‘충청공항’이니 ‘반기문공항’으로 변경하자는 것은 문제의 핵심을 빗겨간 무지의 발언이다.

지역과 주민의 자존심을 훼손하는 것으로 삼가하길 바란다. 공항활성화에 대한진정한 열정이 있다면 공인되지는 않았지만 ‘ㅇㅇㅇ위원회’란 이름을 걸고 정부 당국과 온몸으로 현안 관철을 위해 싸워라. 또 다른 위원회를 급조해도 괜찮고, 충북도와 청주시에 활동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해달라해도 무방하다. 그렇지만 무지함에서 정제되지 않고 나오는 공항 명칭 변경 주장은 이 시간 이후 ‘닥치고 청주공항’이며 선(先)인프라 구축으로 전환해야 명분을 얻을 수 있다.

청주공항은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 유력 공항인 김포국제공항(165km), 인천국제공항(250km), 군산공항(120km )과 떨어진 국토의 내륙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가 인접하고 철도와 고속도로가 분기되는 교통 요충지가 아니던가.

/이광형 논설위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