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대 토지보상비 등 실익없는 사업에 업체들 외면

[충청일보 김정호기자]한때는 장밋빛 청사진으로 기대를 부풀게 했던 오송역세권 개발이 왜 미운오리새끼로 전락했을까.

지난 2005년 처음 기본계획안이 발표됐을때만 해도 오송역세권개발은 해당 지역 주민은 물론 충북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전초기지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8년이 지난 지금 오송역세권개발은 민간사업자 공모 실패 위기-연말 지구지정 해제 가능성 고조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왜 이런 사단이 났을까에 대해 충북도와 전문가들은 천정부지로 치솟은 지가와 이주자 택지가 발목을 잡았다고 진단하고 있다. 개발기본계획이 발표된 이듬해인 지난 2006년 이 지역의 공시지가 상승률은 80%에 달했다.

당시 충북도는 평균 4.4%, 오송읍을 포함한 청원군은 7.3%의 지가 상승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던 점을 고려하면 오송의 땅값은 그야말로'폭등'한 셈이다. 땅값 폭등에는 외지 투기세력의 개입도 큰 몫 했다는 것이 부동산업계의 지적이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로 투자 심리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땅값마저 단기간 내에 2배가량 뛰면서 역세권 개발은 민간사업자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받았다.

토지 소유자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이주자 택지 역시 역세권 개발의 암초가 됐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오송 역세권에 거주하는 주민은 321명으로 이들에 지급될 토지보상비만도 1970억원에 달한다. 게다가 이주자 택지 비용만 150억∼16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토지 소유주 상당수가 시세차익과 보상을 노려 지은 속칭 '벌집'문제가 제기됐고, 개발이 이뤄진다면 벌집을 소유한 토지주에게 가구당 수천만원의 이득을 안겨주는 상황이 됐다.

이 때문에 오송지역의 체계적, 계획적인 개발이라는 충북도의 의도와 달리 역세권 개발 사업에 무리하게 나선다면 외부 투기세력의 배만 불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송의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60%가 넘는 토지 보상비에 200억원 가까운 이주자 택지 개발비까지 주게 되면 민간 사업자에게 돌아갈 게 뭐가 있겠느냐"며 "업체들이 개발 실익이 없다고 판단,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