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늦어도 24일 또는 25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선임하고 이번주 중 인수위 구성을 마무리 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악 각 부처 공무원들과 한나라당 소속 각 지방자치단체장의 핵심측근까지 인수위 참여를 위해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이는 형국이다.

인수위에 파견되는 인사들은 새 정권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각 지자체장들은 핵심측근을 인수위에 포진시켜 새 대통령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 발전도 도모하는 등 공무원들의 경우 과거의 경험상 인수위 출신은 장·차관까지 승진 즉, 출세 코스를 밟는 전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당선자 측에서는 인수위를 실무형으로 꾸리겠다고 밝혔을 뿐 어떤 인물로 구성한다는 등의 세부적인 지침을 내린 바 없어 각 지자체장들과 중앙 부처 공무원들은 추측만 무성한 가운데 어떻게 하면 인수위에 측근을 포진시키고, 또 갈 수 있을지 고심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누가 인수위에 파견될지에 대해서는 부처 내부에 정형화된 틀이 있어 별다른 눈치작전은 없는 상황이고, 각 지자체도 지자체장의 핵심이 대부분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힌다고 봤을데 변동폭에 따른 눈치작전은 역시 없는 듯 보인다.

1997년과 2002년 대통령 선거 직후 출범한 인수위에는 중앙부처의 경우 산업정책국장(현 산업정책기획관)과 자원분야 주무과장급이 파견된 것이 관례로 굳어져 있어 이번에도 인수위의 특별한 주문이 없는 한 이를 따를 것이라는 게 관계부처측의 설명이다.

이처럼 관례에 따른 파견이었지만 인수위 출신 관료들은 모두 성공가도를 달렸다. 1997년 인수위에 파견됐던 이희범 당시 산업정책국장은 산자부 장관을 지낸 뒤 현재 무역협회 회장으로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중인게 그 것. 2002년 파견됐던 김종갑 당시 산업정책국장도 산자부 제1차관을 마친 뒤 현재 하이닉스반도체의 최고경영자(ceo)로 뛰고 있다.

반면 각 지자체장 핵심측근의 인수위 참여는 관례로 봤을 때 통용되지 않았으나 이들은 측근을 새 대통령과 근접에 둬 관계유치 및 각종 나라 정보를 얻기 원하고 있어, 이번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 당선에 크게 기여한 지자체장들의 목소리는 커질 개연성이 높은 상태다.

그러나 이 당선자가 '실무형' 인수위를 구성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이번 인수위는 큰 가닥만 챙기고 권한이나 역할은 과거에 비해 크지 않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충청출신 한 중앙 부처 공무원은 23일 본보와 전화통화에서 "이번주 인수위원장이 결정되고 인수위원들이 정해지면 각 중앙 부처에 1급이나 국장, 과장급 가운데 후보자를 추천해달라고 요청이 (인수위원장에게)올 것"이라며 "1급은 계약직이라 차기 정권까지 자리가 보전될지 불확실하므로 국장급이 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각 지자체장 핵심측근의 인수위 참여도 후보자들이 넘쳐난다고 봤을때 바늘구멍이지 않겠는가라는 생각"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면서 "누가 뭐라고 해도 중앙 부처 공무원이나 캠프 인사, 지자체장 측근 등 충청 출신이 인수위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충청권 차원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고 훈수했다. / 김성호기자 ksh3752@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