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정우택 지사가 최근 각 실·국·본부장과 충북개발연구원에 내린 특명이다.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전국을 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동남권 등 5개 광역경제권과 제주,강원 등 2개 특별광역경제권으로 묶어 각종 행·재정적 지원을 할 방침을 밝힘에 따라 충청권 내 3개 시·도 가운데 이니셔티브(주도권)를 잡기 위한 것이다.

정 지사는 이미 민선4기 취임 초부터 '경제특별도'에 올인할 정도로 '경제도지사'를 표방해 왔는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역시 '경제대통령'을 표방하며 각 지역의 경제발전에 최대 역점을 두고 있는 점이 서로 상통하는 기반에서 광역경제권에 대해 발빠르게 공부를 시작한 것이다.

정 지사의 이같은 광역경제권 연구 방침은 인수위가 광역경제권 내에 있는 시·도간 협력사업은 '광역유형' , 광역경제권간 협력사업은 '초광역유형', 기초지자체간 연계사업은 '기초유형'으로 분류해 행·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시작됐다.

즉 충청권 내에 있는 3개 시·도가 공동으로 협력사업을 벌여야 하고, 그럴 경우 사업의 시발점과 본부는 충북이 되어야 지역 발전과 수혜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광역경제권 운영 과정에서 혹시 충북도가 현재 집중 관리하고 있는 충북인재양성재단 ,중국마을 조성 ,청주공항 활성화, 혁신·기업도시 조성 등 10대 지역 현안사업들이 악영향을 받지 않고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도 새 대통령의 광역경제권 구상에 대한 연구는 빠를수록 좋다는 의견이 많다.

이에 따라 충북개발연구원 등은 광역경제권의 전반적 체제 및 운영방향, 광역경제권을 지휘할 지역본부의 위상 및 입지 위치, 2천5백만 인구의 '수도권' 광역경제권에 관련하여 500만 인구의 '충청권'이 받는 영향, 충청권에 가능한 사업 및 충북이 주도권을 쥘 수 있는 사업, 다른 광역경제권에서 나올 수 있는 사업 등을 파악하는 한편 가능하면 구체적 실행 전략마련에 착수했다.

이에 대해 "기왕 중앙정부에서 강력히 시행할 정책이라면 미리부터 준비하고 대응해 지역에 유리하도록 활용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기대가 크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박종천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