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10만명 수용목표 차질 우려

충북의 미래 개발 동력으로 여겨지고 있는 오송생명단지가 올 하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곳 일대에 장차 인구 10만명 수용의 신도시가 계획되고 있으나 새로운 로드맵이 조성되지 않을 경우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오송생명단지는 지난해 식품의약안전청 등 5개 생명관련 국책기관의 이전이 확정돼 나름대로 힘을 받고 있으나 향후 주변 여건은 장밋 빛 만은 아니다. 정치적 환경이나 계획의 수정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가 바이오산업을 기치로 발 빠르게 오송생명단지를 적극 개발했으나 이제는 전국적으로 인천광역시 송도, 강원도 원주시 등의 도전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이곳은 오송단지 못지 않은 각종 인프라와 입지적 조건, 지역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괄목할 만하다. 인천 송도는 한국의 두바이를 꿈꾸며 바이오 보다 한단계 진전된 미래 나노 산업 육성에 힘을 모으고 있다.

오송생명단지는 전체 부지 면적이 460여만 ㎡로 이곳에는 국책연구 기관은 물론 관련 업체, 주민들의 입주로 거주 인구 2만명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호남고속철 오송분기역 설치와 인근에 도가 총력을 기울여 유치 작업을 하고 있는 의료복합단지 등이 실현되면 장차 인구 10만명 수용의 신 도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런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산너머 산이다. 기관이나 기업들의 입주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거품에 그치게 된다.

현재 상황은 녹녹치 않은 것이다. 의료복합단지 유치도 불확실하고 행정도시의 축소 건설 가능성 제기와 과학비즈니스 벨트 조성 등 악재가 산재해 있다.

과학비즈니스 벨트의 경우 대덕, 행정도시, 오송·오창산단을 연결하는데다 충청권 이외의 타 시·도를 연계할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설상가상이다.

이럴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오송생명단지는 주력이 아니고 종속의 개념에서 인식될 수 있다. 이와함께 현실적으로 오송생명단지가 하반기 준공된다는 사실이외에 아직 확실한 것은 없다. 예측이 가능한 것은 호남고속철은 그남 건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고 다른 추가 단지 등은 불확실하다.

일부에서는 오송생명과학단지가 자칫 청주권과 대전광역시, 날로 인구가 증가하는 천안권 사이에 끼어 활로 모색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오송생명단지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자족형 미래 신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기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도내 한 공무원은 "오송생명단지를 인구 10만명 수용 규모의 신도시로 육성한다고 하고 있으나 각종 암초가 버티고 있다"며 "급격하게 변하는 외부 환경에 발맞추지 않고서는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재기기자 @ccilbo.co.kr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