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충북지역본부는 지난해 약 5조5000여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나 농산물의 유통 판매 등 경제사업 부문 매출은 5200억 원에 지나지 않는다. 채 10%도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거의 다 은행카드 등 신용사업 분야 매출이다. 그나마 농산물을 사들여 되파는 매취사업 매출은 866억 원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매취사업 매출의 90%이상이 추곡수매라고 하니 이마저도 허울뿐인 셈이다. 농민들을 위한 사업은 없었다고 해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물론 이 같은 경우가 충북본부에만 국한된 일은 아니다. 농협이 설립목적대로 농민 지원을 위한 경제사업 보다는 돈 장사 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아 온 것은 새삼스런 얘기가 아니다.

농민들로부터 농산물을 다소 비싸게 사 되파는 과정에서 이득을 보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사업은 늘 적자다.

농협은 경제사업 적자를 신용사업 흑자로 보전하는 만큼 신용사업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한다.

터무니없는 주장은 아니다. 그러나 농민들이 농협을 불신하는 것은 신용사업 확대 등이 과연 농민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농협 자체 조직의 존립과 구성원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경제사업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농민들은 엎친 데 덮친격에 놓여 있다.

누가 이들을 도와주어야 하는가. 정부는 지난 3월 매년 1조원 이상의 적자를 내고 있

는 경제사업을 정상화하고 신용사업의 건전성도 지킨다는 뜻에서 농협을 오는 2017년까지 농협금융(신용)과 농협유통(경제), 교육 지원 등 3개 법인으로 분리하기로 했다.

분리에는 원칙적으로 공감한다. 문제는 과연 어떻게 경제사업의 자생력을 키우느냐 하

는 점이다.

정부와 농협은 경제사업 활성화를 위해 농산물 판매 유통 분야에 13조원을 투 융자하기로 했다.

그러나 투자만이 능사는 아니다. 획기적인 수익구조 개선안이 나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