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사립대학의 편입학 비리를 특별 조사한다. 진작 이같은 조사를 실시했으면 지금처럼 비리가 커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비난도 있다. 입시 부정이나 편입학 비리가 척결되지 않으면 대학이 요구하는 자율성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부정과 비리를 위한 자율이냐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기여입학제에 찬성하는 사람조차 등을 돌리게 된다. 교육부와 검찰이 이번에야말로 대학의 비리를 뿌리뽑는다는 각오로 조사와 수사를 해야 할 것이다.

편입학 학원이나 준비생들 사이에서는 시험성적 조작에서 부터 기부금 편입학, 교직원 및 법인 자녀 특혜 입학 등에 관한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왜 그런가? 가장 공정해야 할 선발 방식이 불투명하기 이를 데 없기 때문이다. 편입 전 대학에서 받은 성적, 영어능력시험 성적, 논술면접 등 다양한 전형 요소가 있지만 교수의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서술식 출제 등 계량화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당락에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6학년도 A 대학 의과대의 경우 응시자 32명 중 6명을 합격시켰으나 필기고사 1, 2위 학생이 불합격됐다. 시험 결과를 일절 공개하지 않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지금도 대학가나 학원가에서는 A대학 B학과는 몇 억원이면 되겠느냐 등의 은밀한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학교 쪽에서 먼저 손을 내밀고 흥정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는 후문이다.

전국 4년제 대학의 올해 편입학 정원은 4만5887명으로 12년새 12배나 늘었다. 올해 서울 소재 대학의 편입생 중 지방대 출신 비율이 64.2%이고 서울지역 편입학 경쟁률은 16.4대1로 지방의 4배를 넘었다.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비리가 은밀하게 저질러지고 있다는 풍문이 나돌지만 교육부로서는 사실상 속수무책이다. 감사인력 25명으로 463개 대학을 감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국민의 관심이 높고 편입학 규모가 큰 주요 사립대의 부정 여부만큼은 반드시 파헤쳐 강력히 제재해야 할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