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논설위원 권영정

우리 한민족은 부족국가 이전부터 대륙과 해양 쪽의 오랑캐들로부터 빈번한 침략을 받아왔다.

1950년에는 동서 대리전이라고 일컫는 최악의 한국전쟁이 발발하여 국토는 초토화되었다.

자원·자본·기술의 결핍으로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되었고,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 사회는 혼탁했다.

그 후 반세기가 훨씬 지난 지금의 한국은 딴 판이다.

자유 민주주의제도를 뿌리내렸고, 시장자본주의에 길들여져 선진 '3각 구도'에 바짝 다가섰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적 교육열로 가능했다.

끼니를 굶어도 자식들만은 일터가 아니라 학교로 보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문맹률은 78%로 일본의 문자 교육인구 99%에 비하면 하늘과 땅 차이었다.

세계의 석학들은 '한국처럼 단기간 내에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번영한 국가는 없다'고 하면서 '떠오르는 태양'이라고 극찬했다.

아직도 지구촌 후발국에서는 라디오 전파조차 잡을 수 없는 10억 이상의 원시적 삶이 도처에 흩어져있다.

이들 민족이 재건하기 힘든 이유가 바로 교육의 부재와 부실로 인적자원이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이 복지국가로 앞선 이유는 간단하다.

100여 전부터 질 높은 대중교육을 펼쳐 가계소득의 증가와 부국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따라서 교육력과 국력이 비례함을 알 수 있다.

90년대에 들어서 동서 냉전의 상징물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독일이 통일되었다.

이후 소련이 붕괴되면서 프롤레타리아의 해방론과 같은 사상적 갈등은 사라졌다.

북한도 부분적 사유농토를 인정하면서 길거리 장사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홀로 남게 된 순수 자본주의가 가져온 사회적 부작용 또한 심각하다.

빈익빈 부익부를 비롯한 양극화 현상, 마약사범의 저 연령화, 범죄의 흉폭과 지능화, 환경파괴, 실업률의 증가, 도시슬럼화 등이 그렇다.

이러한 문제해결은 공교육의 정상화와 교육의 사회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새 질서가 창출되고 지식사회가 꽃을 피우려면 상당부분을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

교육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힘의 원천이며 행복을 누리게 하는 흙이다.

행복지수는 교육과 맞물려 돌아간다.

21세기에 교육의 지향점을 어디에 두는가는 여간 중요한 일이 아니다.

창조적 지식사회를 구현하는 학습방식이 있다.

첫째, 교과서와 같은 고정적 인쇄매체를 차례대로 내려가는 순차적 학습으로부터 다양한 정보에 무선적으로 접근하는 디지털 학습이다.

둘째,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주입식교육에서 유동적인 디지털 정보를 학습자가 필요한 지식으로 가공하는 참여적 체험학습이다.

셋째, 교사는 학습촉진자로서 안내해 주는 가운데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주도하는 학습자중심의 수업이다.

넷째, 때로는 제도교육의 틀에서 벗어나 삶과 연계하여 끊임없이 습득하는 평생학습이다.

끝으로 학습자 개인의 발달정도와 적성을 계발하고 수월성을 추구하는 학습자 수준의 맞춤형 학습이다.

지금 우리는 정보화시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창조혁명의 지식사회로 넘어가는 경계선 시대에 산다.

지식의 파지(把持)에 따라 부의 판도가 확연히 달라진다.

창조적 지식은 신교육에서 나온다. 신교육에 글로벌교육도 포함된다.

이것은 합일치(合一致)와 맥이 같다. 합은 일대일(一對一)이 아니다. 일대다(一對多), 다대일(多對一) 다대다(多對多)의 융기다.

충북교육청의 창의적 로드맵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