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순칼럼>서울본부 취재국장

김태순 서울본부 취재국장

묵자는 위정자가 국민을 업신여기고 아무렇게나 인사를 하는 천하의 해(害)를 논하기도 했다. 여기서 그는 백성보다 위정자 개인의 비위를 맞추려 들기만 하는 인물을 가까이 두는 위험을 경고했다.

그런데도 곧잘 위정자는 눈을 크게 뜨고 널리 인재를 찾으려 하지 않는다. 그저 내가 믿는 사람, 나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는 사람, 나를 편하게 만드는 사람들만 가까이 하려든다.

그러는 사이에 언로(言路)가 막히고 국민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이다. 개각이 있고 나면 정부 여당측은 으레 개혁성과 전문성을 살린 잘된 개각이라고 자화자찬하고 야당은 기대 미흡이라고 혹평을 하게 마련이다.

그런 가운데 대다수 보통사람들은 개각이 잘 됐는지 판단하기도 어렵고 과거 많은 개각처럼 이번 역시 자기네와는 상관없는 끗발 가진 일부 사람들 그들만의 잔치로 치부하기 십상이다.

우리나라처럼 개각이 잦은 나라도 별로 없지만 인사의 기준이나 객관성이 모호한 나라도 많지 않은 것 같다. 인사도 자주 하다 보면 노하우가 축적될 법도 한데 전혀 그렇지 못하다.

사실 개각의 성공·실패 여부를 가늠하는 객관적 기준이란 있기 어렵다. 하지만 개각이 잘 됐는지 비교적 무난한지 아니면 문제가 많은지 등을 따져보는 몇 가지 관점이나 요소는 그래도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우선 따져볼 일은 새 진용이 일류(一流)인가 하는 점이다.

대통령 주변은 국가경영을 가장 잘 할 것으로 믿어지는 일류들로 채워지고 일류들로 보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대통령 비서들은 그렇다. 2류·3류들이 대통령에게 입력하고 집행하는 인적(人的)구성이라면 그건 잘된 인사일 수 없다. 정권 입장에서도 나라의 엘리트층을 잡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대통령들은 흔히 사적 관계에서 친분,신뢰감 충성심 때문에 변방 인물이나 2·3류를 기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런 인사는 대부분 실패로 끝나고 만다.

다음으로는 인사에서 책임 문제가 제대로 반영됐는가 하는 점이다. 고금동서를 막론하고 잘못한 사람 무능한 사람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게 인사의 원칙이자 순리다.

이런 원칙이 서지 않고는 정부의 기강도 서지 않고 국민의 신뢰를 받기도 어렵다. 그리고 편가르기 인사 보은 인사가 없는지 살펴볼 일이다. 무능해도 내편이니까 기용하고 유능해도 네편이니까 안된다는 인사를 해선 안되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과거에 신세를 졌으니 공직기용으로 갚겠다는 보답용 인사도 물론 안 될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명박 정부의 인물 기용은 어떤 평가를 받을까.

이 대통령은 지난 20일 대통령실장과 청와대 수석 7명을 교체했다. 대통령 취임 117일만에 청와대 1기가 퇴진하고 2기가 시작된 것이다. 고소용, 강부자의 모양새를 바꾸는데 급급했을 뿐 국민에게 감동을 줄 만한 참신한 인물이 없었다.

이번 인사에서 도저히 일류라고 보기는 어려운 인물들이 보이고 보은인사내지 측근 인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야권에서는 국민의 눈높이와 다른 청와대 개편이란 비판을 하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한나라당 공천 낙천자와 4.9 총선 낙선자를 수석이나 특보로 기용했다.

노무현 정권 때 단골도 써먹던 회전문 인사 돌려막기 인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야나 개혁 세력 등을 외부에서 수혈하거나 지역 안배를 하려는 탕평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

충청지역과 강원지역 출신이 청와대 수석중에 한 명도 없었다. 1기 때에도 충북의 경우 청와대 수석과 장관이 한 명도 없었는데 이번에도 무대접을 받은 것이다. 조만간에 이명박 정부의 제2기 출범을 위한 개각이 단행 될 예정이다.

국정이든 기업 경영이든 리더십과 조직관리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사람을 골라 쓰는 일이다. 법률과 제도를 아무리 잘 만들어도 사람이 잘못 운용하면 헛일이다.

이번 인사에서는 전문성·도덕성·참신성을 고루 갖춘 인물이 대거 발탁 돼 난국을 수습하기 바란다. 공이 있으면 상을 주고 능력이 있는 자에게 자리를 맡기라는 금언을 지키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