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07년 5월 22일

전화금융사기(보이스 피싱 voice phishing) 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갈수록 지능화, 다양화하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국세청이나 은행·카드사 직원 등을 사칭해 과납금 환급이나 대출금 미납 등을 미끼로 접근하더니 최근에는 납치극까지 가장하는 등 흉포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 주로 대도시에서 활개를 치던'보이스 피싱' 조직이 이젠 지방으로까지 활동 무대를 넓혀가고 있어 큰 문제다.

며칠전 충북 제천에서는 '아들을 살리려면oo은행 계좌로 돈을 보내라'는납치극을 가장한 수법으로 전화사기를 치던 중국 국적의 불법체류자가 경찰에 붙잡혔다.

얼마 전에는 청주에서 과납한 의료비를 환급해 주겠다는 등의 전화 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는 보도가있었다.

충주에서는 전화사기 피해액이 수천만 원대에 이른다는 추산도 있었다. 충북지역 곳곳에서 보이스 피싱 조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 경찰청이 추산한 국내 '보이스 피싱' 전체 피해액은 200억 원대를 넘어섰다고 한다. 문제는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범죄 형태가 지능화한 것도 한 요인이지만 대부분의 범죄조직이 중국 이나 대만 등 제3국에서 활동하고 있어 검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결국 개인이 주의를 기울여 피해를 입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세금이나 공과금 과오납 환급, 대출금 독촉, 카드대금 연체 등을 이유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묻는 전화는 거의 다 '보이스 피싱'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국가기관이나 금융기관 등은 ars를 이용하거나 직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개인정보를 물어보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경찰은 피해자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예방활동 및 재발방지에 주력하길 당부한다. 국가기관이나 금융기관 등은 피해 예방 홍보를 더욱 강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