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의원의 임기가 30일 시작된다. 17대 국회에서 처리됐어야 할 굵직한 현안들까지 떠안은 18대 국회는 어느 때보다 큰 국민적 기대와 책임감을 실감하고 있을 것이다.

한나당의 홍준표 대표는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대접하면서 독주하지 않고 현안을 미리 협의할 것"이라고 다짐했고, 민주당의 원혜영 대표도 "국민이 요구하는 시각과 눈높이에서 합리적이고 상식에 맞는 기준을가지고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타협할 것은 타협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실은 말처럼 쉽고 간단하지 않다. 당장 쇠고기 재협상 요구와 한미fta비준 문제가 갈수록 꼬여가고 있고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에 우리 경제가 직격탄을 맞아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경유가 문제는 시급하게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사태가 어떻게 악화될지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심각하다. 정부도 나름대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국회는 제도적인 뒷받침을 미룰 수 없는 실정이다. 민생문제와 국정현안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시의적절하게 제시하는 '실용국회'의 역할을 국민은 기대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하루빨리 여야가 개원 협상을 마무리하고 국회의 문을 여는 것이 최선이다.

국회법은 총선후 최초의 임시회를 임기 개시후 7일에 하고 임시회 회기 시작 2일이내(6월7일)에 상임위원 인선을 마무리해 원구성을 완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여야는 6월초에야 개원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과거에 현안과 원구성을 연계시키는 야당의 국회 협상전략 때문에 개원이 수개월씩 미뤄지는 사태를 우리는 수없이 겪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 앞에 놓인 현안은 때를 놓치면 안되는 일들이다. 여당은 과거 야당 10년때의 경험을 떠올리고, 야당은 집권당 시절의 어려움을 교훈삼아 타협의 기술을 발휘해야 한다. 우리는 '상생정치', '민생정치'가 현실에서 이뤄지는 것을 보고 싶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