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중 국내 건설업체 중 180곳이 부도를 냈다. 올 상반기 부도업체는 모두 125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9% 증가했다. 이중 종합건설사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3% 늘어난 57개사, 전문 건설사는 61.8% 급증한 123개사에 달하고 있다.
특히 부도처리 건수의 경우 지난 1월에 비해 6월에는 24%나 늘어나 앞으로 건설사 부도가 늘어날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 같은 건설업 연쇄부도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후 국내 경제 발목을 잡는 최대 걸림돌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조치 지연과 경기침체에 따른 전국 미분양 아파트 급증, 최근 고유가와 철근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것이 연쇄부도 원인이다.
무엇보다 국회가 열리지 않으면서 건설업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부만의 이른바 '6·11 대책'은 시장에서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
참여정부는 5년 동안 모두 13번에 달하는 '부동산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민심이반'을 불러왔고 급기야 지난 2007년 내놓은 '1·11대책'은 그야말로 마지막 지지기반이던 충청권 등 지방까지 등을 돌리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그만큼 부동산 정책은 '동전의 양면'처럼 찬·반이 뚜렷해 정책방향에 따라 정권성공과 실패로 양분될 정도로 중요한 문제다.
충청권은 수도권 대형 및 중견업체들과 달리 아직까지는 큰 파장이 없다. 하지만, 그것은 관급공사에 의존하는 '소극적 경영'에 따른 것으로 이미 자생력이 없는 상태를 입증해주는 문제다.
때문에 원자재값 폭등이 실제 현장에 반영되는 이달부터 충청권 영세 건설업체들의 '부도공포'는 본격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수도권 대형 및 중견 업체 부도에 이어 지방의 중·소업체로 연쇄부도 사태가 확산될 경우 우리 경제는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