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김동민 부장

김동민 부장

최근 우리 경제는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지방 경제는 '도탄'에 빠져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충북지사와 청주시장, 청원군수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그들은 대통령과 서울시장, 경기지사와 마찬가지로 어떤 행정단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선출직이다.
우리는 한때 도지사와 청주시장이 각각 다른 정당 소속으로 묘한 갈등이 빚어질때마다 '정당정치'의 폐혜를 지적했었다.
하지만, 대통령과 서울시장, 경기지사와 마찬가지로 현재 충북지사와 청주시장, 청원군수 모두는 한나라당 소속이다.
이런 상황에서 충북지사와 청주시장, 청원군수는 민선 4기 출범 이후 단 한차례도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민선 4기 투자유치 및 양해각서(mou) 체결방식 등을 놓고 언론의 가십기사에심심치 않게 등장했고, 최근에는 부단체장 임명문제를 놓고 지사와 시장 간 한치의 양보없는 갈등구조가 도민들에게 노출됐다. 이어 터진 충북도의 음식물쓰레기와 관련된 청주시에 대한 감사를 둘러싼 잡음은 도대체 도민들에게 도와 시의 중점적 행정사항이 어디에 있는지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 단체장 간 갈등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있다. 청주시장과 청원군수는 청주·청원 통합문제를 놓고 시간만 나면 서로 '갑론을박'을 하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문제는 민선 3기 한대수 청주시장과 오효진 청원군수 시절에도 단골 메뉴였다. 처음에는 청주·청원 통합이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했던 청원군수가 어느날 청주시장과 해외출장에서 돌아온 뒤 '통합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당시 군민들의 반발과 청원군의 통합강행, 주민투표 부결 과정은 우리나라 지자제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구체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이제는 '청주·청원 통합'과 관련된 이벤트성(혹은 정치적) 발언을 중단하고 최우선 순위 행정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지난 1973~1974년과 1978~1980년, 우리는 1·2차 오일쇼크를 경험했다.
국민들은 당시 그야말로 고혈을 짜는 내핍을 경험했다. 난방용 땔감을 구하기 위해 어린 초등생들까지 뒷산에 올라 솔방울을 따고 마른 나무가지를 주어 모으는 일에 동참했다.
'등화관제'가 시행됐고, 각급 관공서는 강제력을 동원하며 차량운행을 줄이기 위한 무리수를 당연시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고작 할 수 있는게 지방정부 수장이 자전거로 출·퇴근하면서 도민여론을 환기시키는 방법 밖에 없다. 고유가에 따른 원자재값 폭등으로 모든 중·소 기업체가 내일을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불안에 떨고 있고 미국산 쇠고기 문제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데도 이렇다할 입장표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단체장들의 가치와 덕목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도민들은 지사와 시장, 군수가 나란히 앉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지방정부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고유가 대책을 제시하고 도민들의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자치단체~국민 간 네트워크'를 통해 원산지 단속 기능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등 피부에 와닿는 행정을 기대하고 있다.
도민들은 '同床三夢'의 지사·시장·군수가 '一心同體'로 경제살리기 및 도민불안 해소에 모든 행정력의 '올인'을 희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