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금융권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9월 외화유동성 위기설에 대해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국제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열어 시장에서 제기된 9월 외화유동성 위기설을 점검한 결과, 전세계적인 신용경색으로 해외차입에 대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지만 국내 자금시장의 외화 유동성 사정이 양호해 9월 위기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진단한 것이다.

외국인투자자들도 이달 들어 국내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매수를 재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 집계 결과 외국인투자자는 8월 들어 14일까지 9000억 원의 순매도를 기록했지만 이달 11∼14일 중에 529억 원을 순매수해 11주만에 '매수우위'로 전환되는 등 투자가 확대될 조짐을 낳고 있다.

하지만, 국내 건설업계가 내다보는 '9월 위기설'는 보다 구체적이고 그럴법한 내용들도 채워져 있어 쉽게 간과하고 넘어가서는 안될 것이다.

시중에는 최근 부도위기에 몰린 건설업체의 이니셜을 조합한 '조어'가 난무하고 있다. 물론 서울 명동의 사채시장에서 시작된 루머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한국경제가 구렁텅이로 빠져들 개연성은 충분하다.

충북지역의 사정도 신통치 않다.

이른바 브릿지자금을 취급했던 대부분의 2금융권이 심각한 부실에 시달리며 매각설이 제기되고 있고 대주주 불법대출에 대한 사정당국의 수사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지난해 분양가상한제 도입 이후 충북지역 건설업계는 신규 주택사업을 중단하다시피했고 일부에서 제기되는 직원 감원설도 지역 경제계를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600여 일반건설사는 그럴수록 관급공사에만 매달리면서 '출혈경쟁'을 계속하고 있으며, 청주·청원권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택지개발 사업도 보상가 문제와 내부갈등 등으로 크게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럴수록 간결한 경영과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임·직원의 단합된 힘이 필요하지만, 사회 곳곳에소 갈등과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는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지금이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를 받던 10년전보다 어렵다고들 한다.

원자재값 폭등에 따른 고물가에 더딘 성장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가 확산되고 있고 가계수입 감소와 거리로 내몰리고 있는 서민들의 삶은 누가 책임진단 말인가.

중국 베이징 올림픽에서 우리선수들이 선전했다고 마냥 기뻐하고 있기에는 국내 경제상황이 너무 좋지 않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정부는 최근 제기된 '9월 위기설'과 관련, 단호하고 완벽한 대책으로 서민층의 동요를 막아햐 한다.

건설업체가 자생할 수 있도록 서둘러 경기부양책을 마련해야 하며 물가를 잡기 위한 경제정책의 선회도 시급하다.

얼마 있으면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게 된다. 기업체 입장에서는 추석자금이 몰릴 수 밖에 없고 은행권은 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신규대출을 자제할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상황이 적절하고 탄력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당국은 머리를 맞대야 한다.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9월 위기설'에 휘둘리지 않도록 정부와 자치단체의 '추석 대책'도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는 '9월 위기설'에 대한 확실한 처방책과 국민안심책을 발표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 김동민부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