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충청일보]◇하느라고(?) 했는데 마음에 드실지 모르겠습니다.
 

나름대로 열심히 했는데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별로 좋지 않을 때 '하느라고 했는데 이 모양이다'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하느라고'는 '하노라고'로 써야 올바른 표현이다.

연결어미 '-노라고'는 동사의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등의 뒤에 붙어 쓰이는 표현으로 화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며, 주로 '하노라고 했다'와 같은 형태로 많이 쓰인다.

'-노라고'와 자주 혼동돼 쓰이는 '-느라고'는 동사의 어간이나 존칭을 나타내는 어미 '-으시-'뒤에 붙어서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목적이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영걸스럽다'와 '영절스럽다'
 

일상생활에 쓰이는 많은 말들 중 발음이 비슷해 그 뜻을 혼동해 사용하기 쉬운 단어들이 있다.

이러한 말들 중 좋은 뜻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아 평소에 자주 사용하지 못하는 단어로 '영걸스럽다'와 '영절스럽다'가 있다.

'영걸(英傑)스럽다'는 '보기에 영특하고 용기와 기상이 뛰어난 데가 있다'는 뜻으로 '영특하고 용기와 기상이 뛰어남'의 뜻을 가진 명사 '영걸'에 '-스럽다'가 붙은 말이다.

예를 들어 '눈빛이 예사롭지 않은 것이 어딘가 영걸스러운 모습이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영절스럽다'는 '아주 그럴듯하다'는 뜻의 형용사로 순 우리말이다.

예를 들면 '장군이 적을 깨칠 궁리를 노심초사하고 있으니 꿈이 영절스럽게 꾸어진 것이었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