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원자료는 수험생의 인적사항과 원점수가 그대로 담겨 있어 공개될 경우 고교별, 지역별, 평준화 및 비평준화 지역간 학력격차가 드러난다는 이유로 교육당국은 비공개 원칙을 철저히 지켜왔다.

안병만 교육부장관은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의 원자료 제출 요구와 관련한 국회 질의 답변에서 "사회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전제로 자료를 넘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처음 실시된 수능 등급제의 실패로 올 입시부터는 수능 등급과 백분위, 표준점수를 공개하기로 했으나 이는 원점수 공개와는 분명히 다른 것이다. 실제로 2005년 발표된 한 대학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능 점수가 지역별, 계층별로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의 수능 평균점수가 중소도시와 읍면지역 학생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서울지역은 303점, 광역시 310점, 중소도시 298점, 읍면지역 269점으로 최고와 최저간 무려 40점 이상 차이가 났다.

광역시의 고교는 인근 읍면지역 출신 우수 학생들이 몰리기 때문인데, 서울의 경우는 강남에 비해 강북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기 때문에 광역시보다 낮았다. 강남의 상위 2개구와 강북의 하위 2개구 고교생들 간엔 평균 35점 정도의 격차가 벌어졌다.

교육도 물론 산업이다. 대한민국이 민주화, 산업화 과정에서 숱한 고난을 겪고 오늘날 세계 경제규모 10위권에 이른 저력은 교육임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세대를 뛰어넘어 부모들의 헌신적인 뒷바라지와 학생 스스로의 향학열이 그 원동력이 됐고, 부존자원이 변변치 못한 우리가 지속적으로 신경써야 할 부분도 인재 개발이다. 경쟁력 있는 교육 없이는 우리의 미래도 없기 때문이다.

모든것을 급작스럽게 바꿔서는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수능 원자료를 연구용으로 용도를 국한시킨다 하더라도 관례로 볼 때 어느 단계에선가 자료가 유출될 경우 그 후유증은 클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