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요? 인재 양성을 위한 공부하는 공간이죠", "스펙을 쌓고 취업 준비하는 곳이라 생각 합니다" 이는 필자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대학이 무엇하는 곳이라 생각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다양한 답변들 중 일부다.
 

대학은 한마디로 창의적인 지식을 창조하는 공간일 게다. 창의적 사회는 서로 다른 사상과 개념이 자연스레 공존하고, 또 서로 다른 영역들이 소통하고 경쟁하며 다시 만나는 장(場)이기도 하다. 이같은 관점에서 볼때 대학은 다양성과 자율성의 공존속에서 지식을 산출해 내는 학습공동체 인 셈이다.
 

최근 일선 대학들마다 자율화 바람이 선언적 단계를 넘어 실천적 단계로 뿌리 내리기 위해 몸부림 치는 모습들이 역력하다.
 

이는 폭넓은 공감대 형성과 함께 이해관계의 충돌조정 등을 원만하게 풀어나가야 만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일선 대학들마다 취업이 잘되고 인기가 있는 학문(학과)만 지속가능성을 보장해 준다는데 심각한 문제가 있지않나 싶다.
 

보편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분야만이 동원되지 않는 법이다. 경영학과 공학적인 소양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너무 많다는데 주목해 보자. 동일한 유전자를 보유한 작물은 전염병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전염병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가치로 평가되고 그 가치에 따라 움직이는 사회 역시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법이다. 따라서 전문지식 창조 공간인 대학은 학문(학과)의 다양성이 보장돼야 마땅하지 않겠는가.
 

지난달 황우여 교육부장관 역시 "인력수급 불균형을 줄이는 대학에 인센티브(Incentive)를 주겠다"고 공표 했다. 이는 취업 중심으로 대학들의 구조를 전면 개편 시켜야만 한다는 얘기다.
 

재정지원과 구조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평가에 취업율을 우선시하는 당국의 경제논리에 지식창조 요람이란 말은 '지식창조 무담'으로 메아리쳐 들린다. 평가를 통해 대학들은 자신의 발전 단계를 검증 받고 부족한 부분을 지적촉구 받으며, 교육부는 해당 대학에 필요한 것이 진정 무엇인지 확인 하는 상호소통과 지원의 평가체제가 구축돼야 옳다.  대학이란 국가와 지역사회의 생존과 발전의 토대이며, 최후의 보루라 생각 한다. 대학에서 연구되는 사상과 상품은 평화적 합의를 거쳐 국가와 사회발전에 밑거름이 돼야 하기 때문 아닌가. 대학마다 보이지 않는 '취업수치' 올가미에서 하루빨리 빠져나오길….

 

/김영대 중원대 초빙교수·사회복지학박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