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주기를 추모하는 각종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배가 침몰하면서 전국을 휩쓸었던 불안, 분노, 위로, 응원 등의 마음이 되살아나는 형국이다. 정부 기관, 기업, 시민사회 단체가 나서서 당시의 참상을 잊지 말 것과 원인 규명, 그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강조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는 후진적 선박법, 타국에서 용도 폐기된 선박의 잘못된 구입, 잘못된 증개축, 잘못된 탑재, 잘못된 운행, 잘못된 정보, 잘못된 판단, 잘못된 전달, 잘못된 대응이 이어져 발생한 인재다.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악순환의 고리가 어느 한 곳에서도 끊어지지 않아 발생한 최악의 참사이다. 
 

세월호 사건은 우리 국가의 근간을 바꾸고 있다. 국가 개조를 선언하면서 정부 시스템을 개혁하고,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안전 불감증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서두르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월호 후속 대책은 신속하고 빈틈없이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꼭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우선 세월호 참사를 이념이나 정쟁의 도구로 삼아서는 안 된다. 역사적 교훈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사건의 본질은 무엇이고,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해 근본을 생각하며 접근해야 한다.
 

지속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후속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부 조직을 개편하고, 선언적으로 법만 제정 공포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생명 존중과 인권, 국민 안전을 위한 법과 제도 개혁과 더불어 의식 개혁까지 추진해야 한다. 특히, '교육 참사'임을 잊지 말고, 현명한 대응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304명의 사망자 중 260명이 단원고 학생이다. 탑승객 중 승무원과 일반인 등 어른들은 3분의 2가 살아남았지만, 어른들의 말만 믿고 움직이지 않았던 학생들은 3분의 2가 목숨을 잃었다.
 

그렇다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세월호 참사에 대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우선 우리 어른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부정부패의 실상을 폭로하면서, 우리 사회의 모순이 어디에 있으며, 그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를 고백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곧 우리 기성세대의 단면이다. 아마도 구체적인 말로 하는 것보다 스스로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더 큰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
 

세월호 사건에 대한 반성과 성찰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윤건영 충북교총회장·청주교대 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