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대(중원대 초빙교수·사회복지학 박사)

[김영대(중원대 초빙교수·사회복지학 박사)]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교육수준 향상은 아동사망률과 함께 출산율을 감소시켰고, 이 현상은 수명연장과 함께 노인 인구수가 급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지난 2000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 수가 7%로 고령화 시대에 돌입한 한국은 꾸준히 수명이 늘어나면서 오는 2050년에는 38%가 노인으로 국민수 대비 노인인구 세계 1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가 되면 15세 이하 아동 숫자가 65세 이상의 노인 숫자 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돼 학계와 관계기관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같은 노인인구 증가율을 감안할 때 공적연금제도 확대방안 만을 강조할 수 없는게 사실 아닌가 싶다.

최근 관계기관 발표안에 의하면 노인복지에 대한 세계의 순위표상 대한민국은 50위로 인근의 일본(9위), 심지어는 태국(36위)보다도 훨씬 뒤떨어 진다.

정부는 노인 빈곤 해결을 위해 나름 노력하고 있고, 정치권 역시 매 선거 때마다 '노인복지 우대. 노인삶의질 향상' 등의 노인복지 공약을 쏟아내고 있지만 여전히 노인빈곤의 근본적 해결책은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공적연금 강화 쪽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눈치다.

노후 보장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준비 의식 역시 국가 지원쪽에 의존한 채 해이해져 결국 노인빈곤 문제는 정부와 가족의 협업으로 풀어나가는게 좋을 듯 싶다.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 1위라는 불명예 속에서 경제성장으로 얻어진 '고령사회'란 생명연장의 선물은 별로 달갑잖은 결과로 씁쓸 하기까지 하다. '노인실태조사'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 자녀들의 부모 부양률은 갈수록 감소하고 있고, 자녀들 왕래 빈도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같은 자녀와의 동거 비율이나 접촉 빈도가 낮다는 것은 시대적 추세로 앞으로는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 된다.

따라서 노인들의 빈곤문제나 정서적 안정의 기반은 떨어진 자식 보다는 지역의 커뮤니티(Community·지역의 공동체적 사회조직)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지역 커뮤니티는 노인들의 경제난을 비롯해 외로움과 자존감 회복을 위해 기존의 획일적 프로그램을 현실에 맞게 제작, 운영해야 한다.

노인들이 살아온 삶의 패턴에 따라 다양한 욕구가 존재함을 인정하고, 여가적 기반시설 역시 등급화시켜 참여율을 높여 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노인들 삶의 지혜를 후손들이 배우면서 세대간 격차를 줄여나가는 만남의 장도 주기적으로 열어야 한다. 젊은 우리 모두는 예비 노인이란 사실을 깊이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