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선 충북체육회 운영부장]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통합은 현재 우리나라 체육계의 최대 이슈다. 국민체육진흥법 일부 개정으로 체육단체 통합이 법제화되면서 전문체육과 생활체육을 각각 대표하는 양 단체가 통합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분리된 지 25년 만이다. 체육이 단순히 신체활동의 측면을 넘어 복지 개념의 사회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양 단체의 통합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왔다.

체육단체 통합이 되면 생활체육의 질적 발전과 엘리트 선수를 배출하는 스포츠 저변 및 인프라가 확대되고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이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선순환 시스템이 구축된다고 할 수 있다. 또 예산이나 인력, 행정력의 낭비를 줄이는 등 체육행정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기능적, 구조적 연계성 확보로 체육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 밑거름이다.

통합은 현재대로라면 2016년 3월까지 이뤄져야 한다. 법 개정 후 1년 내에 시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합에는 대의적으로 공감하면서도 중앙 차원에서의 통합준비위원회 구성과 통합 시기 등을 놓고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통합 추진 과정에서 과정과 방법에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2016년 8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등을 고려할 때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초 2017년 통합 체육회 출범을 계획했던 만큼 개정안에 대한 수정안 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통합이 당초대로 내년에 이루어지든, 법안이 수정 발의돼 2017년으로 연기되든 충북은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다. 2017년 전국체전을 성공적으로 치러내기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하는 시기에 또 다른 큰 과제를 안게 되는 것이다.

시도체육단체의 조직구조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은 통합체육회의 정관·규정에 근거해야 한다. 정부 예산 지원의 법적 보장은 물론 시도체육회의 위상, 시도 통합단체 회장 선출, 직원 신분보장 등에 대한 명확한 방침도 마련해야 한다. 통합체육회 정관·규정 제정에서부터 종목별 경기단체 및 연합회 통합과 집행부 구성 등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현안들이다.

이 통합 작업은 체육단체가 자율성을 갖고 주도적이면서도 디테일하게 추진해야 한다. 작은 차이가 큰 차이를 낳는다. 통합에 대한 공감대는 이미 형성됐기 때문에 우리도 양 단체가 함께 통합에 따른 변화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안 논의를 위한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향후 예상되는 각종 문제점과 혼란을 아주 디테일하게 미리 파악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