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 충북대 건축공학과 교수

[김기수 충북대 건축공학과 교수] 고대~조선후기의 학교건축 시기 중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성균관, 사학, 향교 등의 관학과 서원, 서당 등의 사립교육기관이 있었다.
 
이중 고등교육기관으로 성균관이 있고, 중등교육기관으로 서울은 사학(四學), 지방은 향교와 서원이 있었으며, 초등교육기관으로 서당이 있었다.
 
이 시기의 충북의 학교건축으로는 청풍향교와 청주향교, 청주의 신항서원과 괴산의 화양동서원, 옥천의 이지당과 영동의 자풍서당 등을 비롯해 다수의 학교건축이 입지하고 있다.
 
대표적 관학이며 중등교육기관인 향교는 각 지방재정에 의해 설립됐으며 강학기능과 제향기능을 수행했다.
 
강학공간은 명륜당과 좌우의 동재와 서재, 이외에 사마재, 양사재, 누각 등이 첨가돼 공간 구성을 이루며, 제향공간은 대성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무와 서무가 위치하고 있다. 공간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형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의 위치와 각 건물의 입지와 거리에 의해 공간의 영역성과 공간구성의 명칭이 구분된다.
 
충북지역의 향교로는 청주향교, 문의향교, 영춘향교, 단양향교, 청풍향교, 제천향교, 충주향교, 음성향교, 진천향교, 청안향교, 괴산향교, 연풍향교, 옥천향교, 회인향교, 청산향교, 영동향교, 황간향교 등이 있다.
 
조선중기에 사림세력의 등장, 유학의 성격변화, 관학교육의 쇠퇴 등으로 인해 관학인 향교가 쇠퇴했고 이후 사립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서원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됐다. 서원은 선현에 대한 제향기능, 유생들의 수양과 자제들의 강학기능, 이들을 지원하면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만든 문집과 서적을 출판, 보관, 수집의 지원기능을 담당했다.
 
제향기능으로 사당과 전사청이 있었으며, 강학기능으로 강당을 중심으로 재각과 누각이 있었고, 지원기능으로 장서각과 서원의 제반 업무를 수행하는 교직사가 있었다.
 
사당은 선현의 위패나 영정을 모시고 춘추로 제향의식을 거행하는 건물이었고, 강당은 서원이 가지고 있는 강학의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서원 내에서 규모가 제일 크고 건물은 중앙을 중심으로 한 넓은 대청과 좌우에 위치한 온돌방구조로 돼 있다. 재는 원생들의 기숙사로 보통 강당의 좌우에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이중 동재는 서재보다 선임의 원생들이 기숙했다. 장판각은 선현들의 사상을 기록한 서적이나 문집, 원생들의 교재를 간행하거나 그 목판을 관리하는 기능이며, 누각은 원생들의 피로를 풀어주고 호연지기를 길러주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충북지역의 서원으로는 황강서원, 신항서원, 상현서원, 창주서원, 팔봉서원, 운곡서원, 지천서원 등이 있다.
 
서당은 민간의 초등교육기관으로 사학과 향교로 입학하기 위한 준비기관으로 실질적으로 지방의 청소년들에게 기초적인 지식을 교육하는 기관이었다.
 
서당건축은 체계적인 공간구성으로 갖춘 것이 많지 않고 강당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서당은 대청과 온돌방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그 조합형식은 다양하다. 충북의 대표적인 서당으로는 옥천 덕양서당, 영동 자풍서당, 옥천 이지당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