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재훈 충북대 교수] 근래 들어 청주시 구도심에 40층이상 되는 고층복합주거건물의 건설이 추진되면서 지역여론이 찬반으로 나뉘고 있다. 찬성론자는 도심활성화라는 명분을, 또 다른 쪽은 원래 도시모습의 파괴와 기반시설부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는 비단 청주뿐만 아니라 다른 중소도시에서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사항이다. 하지만 청주시의 경우 역사와 문화의 특수성을 차치하고라도 도시재생이라는 큰 틀속에서 도시관리를 진행하고 있고 그 결과 전국적으로 선도 재생지역으로 자리메김하고 있는 터라 대규모 개발에 대해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시재생이란 측면에서 대규모 개발을 할 수 없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대답은 당연히 가능하다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대규모 개발의 경우 몇 가지 전제 조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첫째는 과연 대규모시설이 지금의 지역환경과 조직에 적합한가라는 것이다. 기존의 모든 기반시설이나 도시계획은 현재의 규모를 전제로 해 진행돼 왔고 필요한 도시계획적 변화는 적절한 범위내에서만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럽고 기존 스케일을 초과한 개발은 주변에 예기치 못한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도시적 관점에서 대규모의 개발이 도시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청주시의 경우 우암산과, 부모산 그리고 무심천이 가지는 자연적 환경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경관성은 타 지역과는 다른 차별성과 고유한 도시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무심서측에 우뚝 솟은 초고층빌딩은 이미 청주시의 스카이라인 틀을 바꾼 상황에서 어떤 관계성을 가질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전제돼야 한다.
 
셋째, 도시의 이미지 및 기반시설의 변화를 가져오는 대규모 시설의 경우 주민들의 컨센서스가 전제돼야 한다. 다수 대규모 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득실은 때론 주거환경은 물론 경제활동에도 기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분한 의견수렴과정과 논의절차가 선행돼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 우리의 경우보다 세심하고 다차원적 의견수렴을 통해 대다수의 동의를 바탕으로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함께 고민해야하는 것은 첫째, 주민과 전문가가 합심하여 도시성장관리에 대한 분명한 계획과 도시개발용량의 설정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이나 기능부여를 통해 개발계획이나 재생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둘째, 용량과 도심재개발계획을 통한 기반시설의 용량점검을 바탕으로 새로운 대형건물이나 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기반시설연동제의 틀을 설정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지어지는 대형건축물이나 시설물이 지역의 상징과 경제에 활력이 되도록 지방자치단체는 주변기반시설의 확충이나 제도적 도움을 제공하고, 주변의 건물이나 시민들은 양보와 협상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가지면서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예전에 청주가 가지는 속성은 유지한 채 변화된 현대사회의 모습을 담는 노력과 지혜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