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험지 출마론·野 신당 '중원'과 무관
'캐스팅보트'에 정치권 외풍 영향 없어

[서울=충청일보 이민기기자]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충청권이 무풍지대(無風地帶)를 형성, 내년 4월 20대 총선의 향배를 가늠키 어려운 형국이다.

새누리당은 최근 총선 승부수로 명망가들의 험지 출마 전략을 세웠고, 야권은 안철수 신당이 창당 수순을 밟는 등 정치권 지각 변동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역대 총·대선 등 각 선거 때마다 판세를 좌우했던 '중원 충청권'에는 정치권발(發) 외풍이 영향을 미치지 못 하고 있다.

먼저 여당의 험지 출마론은 사실상 충청권과 무관하다. 실제 충청권 공략을 위한 전략은 보이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친박·비박계 모두 비현역 명망가들의 수도권 출마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 일치를 봤을 뿐이다.

수도권은 전통적으로 야세가 강하고, 특히 '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이 선거구 획정안으로 확정되면 수도권이 증가하는 10석을 포함, 무려 122개의 선거구를 갖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충청권 일부 선거구에 험지 출마론과 맥을 같이 하는 중량급 또는 신진인사 차출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야권의 신당 띄우기 역시 충청권과 동떨어져 있다.

한때 안철수 신드롬을 불러 일으켰던 안 의원이 22일 대전을 방문해 충청권 구애에 나서는 등 신당 군불을 지피고 있으나, 야권 내에서 조차 시큰둥한 반응이다.

단적인 실례로 새정치민주연합 충청권 10명의 의원들 모두 동요치 않고 있다.

천정배(광주 서을)·박주선 의원(광주 동구)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 등도 각각 창당을 모색하고 있으나, 이들이 나란히 호남권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충청권으로까지 지형을 넓히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충청권이 이번 총선에서도 여당 또는 야당의 과반 의석수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역할을 할 것이란 게 정치권의 중론임에도 불구, 충청 표심을 움직일 만한 대형 요소가 아직 없는 것이다.

더욱이 충청권은 지역구 수 253석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2석이 늘어나 27석을 차지하게 된다. 영남과 호남은 각 2석 감소.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여야가 무풍지대 충청권에 총선 공약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1997년·2002년·2012년 대선 등의 결과, 충청표심은 지역의 이익에 부합하는 당을 선택했다는 게 골자다.

1997년 대선 당시 충청권의 집권 가능성을 담은 내각제를 고리로 한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이 위력을 발휘했다.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는 충청권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상대로 40만8319표를 이겼다. 전국 득표차는 39만557표.

특히 2002년과 2012년 대선 땐 세종시를 매개체로 한 공약이 충청권을 움직였다.

2002년 대선 당시 새천년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신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12년 대선에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세종시 플러스 알파 공약을 각각 앞세워 충청권 승리를 발판으로 대권을 잡았다.

정치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차기 총선 역시 충청권이 판을 가를 것이 분명하다"며 "역대 대선 결과에 답이 있다. 여야가 과반 의석을 담보키 위해선 충청권에 특별한 약속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