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충북의 명산 속리산 관광 활성화, 나아가 충북 관광 진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법주사 문화재 관람료 폐지 논의가 한창 물오른 것 같다. 아직은 확정된 게 아니어서 섣부른 예단일지 몰라도 충북도와 보은군, 법주사가 이 문제를 놓고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이견을 풀어내려는 움직임이 관측되고 있다. 워낙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고대하던 것이라 그런지 충북도와 보은군은 희망 섞인 입장을 보이는 반면 법주사 측은 여전히 조심스러운 행보를 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낙관적인 분위기다.

법주사 문화재 관람료는 한마디로 사찰을 둘러보는 입장료다. 그런데 문화재 관리 재원으로 쓴다는 이 관람료를 받는 매표소가 사찰 앞이 아닌 등산로 입구에 있다 보니 사찰을 찾지 않는 사람들도 어쩔 수 없이 돈을 내고 들어가야 등산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등산객이 관람료를 피하고자 매표소가 있는 충북 땅을 외면하고 반대편인 경북 상주 화북을 통해 산에 오르고 있다.

관람료 4000원이 등산로를 바꿀 정도냐고 되물을 수 있지만, 관광버스 1대에 40명이 탔다고 가정했을 때 16만 원이라는 만만치 않은 돈이 생각지 않게 들어가게 된다. 결국, 관람료가 부담스러운 관광객들이 충북을 찾지 않게 됐고, 그러다 보니 속리산의 정문 격이라 할 수 있는 충북 지역 관광 상권은 직격탄을 맞아 경기가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한때 수학여행의 단골 코스고, 친목 모임이나 관광 계절이 되면 인파들로 넘치던 속리산 입구 상가 밀집지는 사람이 뚝 끊긴 지 오래다. 1980년대 250만 명이나 됐던 관광객이 요즘은 60만 명으로 줄어들 정도로 썰렁하다.

그래서 이를 타개키 위해 자치단체와 법주사가 관람료 폐지를 논의한 게 한참 됐다. 지난해 4~5월만 해도 연간 10억 원대로 알려진 관람료를 충북도가 7억, 보은군이 2억 원을 지원하고 법주사가 나머지 1억 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의견을 절충했던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그러나 결실을 보지 못했고, 차선책으로 거론되던 매표소 위치를 좀 더 법주사 쪽으로 옮겨 일반인의 관람료 부담을 덜어주자는 방안 역시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흐지부지됐다.

관람료 징수 논의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거론됐던 케이블카 설치 사업과도 연결돼 케이블카 승강장을 매표소 밖에 설치하려는 자치단체와 매표소 안쪽으로 끌어오려는 법주사 간 이견으로 이 역시 지지부진한 상태다. 관람료 폐지 논의는 이렇게 각각의 이해 속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렀고, 보은군 현지와 상인들은 답답함 속에 어떻게든 물꼬를 틔어달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결국, 주변 대부분의 재산권을 가진 법주사가 어떤 결정을 하느냐가 관건인데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간부회의에서 잘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다시금 진척이 있는 것 같다.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도록 하려는 자치단체의 열의와 대중들에게 산문을 개방한 법주사의 너른 불심으로 오랜 현안인 이 문제가 해결돼 더 많은 관광객이 충북을 찾고, 그로 인해 상인들의 주름살이 펴지면서 경기가 되살아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